[사설] 팔공산, 대구'경북이 함께 관리'보호해야

입력 2012-11-30 11:19:54

팔공산의 훼손이 심각하다. 등산로가 망가지거나 새 등산로가 생겨나면서 자연경관을 해치고, 주변 지역은 난개발로 엉망이다. 관리 소홀 때문이다. 팔공산은 면적이 125여 ㎢로 연간 1천500만 명이 찾는 곳이지만, 관리는 경북도와 대구시가 각각 맡고 있다. 면적의 75%는 경북, 나머지 25%는 대구가 행정구역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양 행정기관이 독자적인 개발 계획을 세워 개발하고 관리사무소도 따로 있다. 심지어 같은 등산로와 봉우리의 이름도 대구와 경북이 각각 다르게 부른다. 특정 지역에 훼손이 있어도 대구는 경북 지역이라는 이유로, 경북은 대부분 이용객이 대구시민이라는 이유로 관리에는 손을 놓은 형편이다.

이런 난맥은 오래전부터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개선 요구가 있었다. 그러나 대구시와 경북도는 물론, 인근의 대구시 동구, 경북 경산시, 칠곡군, 군위군 등 자치단체 사이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제자리걸음이다. 국립공원으로 승격시켜 체계적으로 관리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행정기관은 어느 곳도 나서지 않고 있다.

대구 도심에서 가까운 팔공산은 국보와 보물급 유적이 산재하고, 1천200m에 이르는 높이와 면적, 산세의 수려함은 어느 명산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그동안 제대로 보호받지 못한 것은 행정 구역이 다르다는 이유뿐이다. 이제부터라도 각 지자체는 협의회를 구성해 체계적인 팔공산 관리에 머리를 맞대야 한다. 각기 다른 지명과 난개발을 막기 위한 기준을 통일하고, 무엇보다 훼손된 등산로 보수와 무분별한 등산로 정비에 나서야 한다. 관리 기관의 담당 구역 싸움은 팔공산의 훼손을 부추길 뿐이다. 행정구역은 경계가 있어도, 산은 경계가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