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관리 엇박자, 위기의 팔공산

입력 2012-11-29 10:00:21

팔공산이 등산로 훼손과 난개발에 신음하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별도로 관리하면서 손발이 맞지 않아 산이 망가지고 난개발이 기승을 부리지만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동구 용수동에 팔공산자연공원사무소를, 경북도는 칠곡군 동명면에 팔공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를 각각 두고 있다. 이처럼 별개 조직이 존재하다 보니 팔공산 톱날바위의 북쪽 등산로 일대가 시간이 갈수록 심하게 훼손되고 있지만 데크 설치 등을 두고 엇박자를 내고 있다.

팔공산에는 연인원 1천500만 명이 찾고 있다. 지정된 등산로뿐 아니라 마구잡이로 만들어진 등산로 때문에 골짜기와 능선 곳곳이 파헤쳐지고 있지만 아무런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발간하는 팔공산 지도 역시 명칭이 서로 달라 등산객들의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게다가 개발 방향에 대해 대구시와 경북도는 냉기류를 형성하고 있다. 팔공산 갓바위를 두고 대구 측은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하고, 경산 측은 모노레일 설치를 주장하고 있다.

칠곡군 동명면의 가산산성 진남문 가까이에 대규모 전원주택 단지가 조성되고, 동명면 기성삼거리를 중심으로 영업 중인 200여 개의 상가들이 무분별하게 간판을 세워 미관을 심하게 해치고 있지만 이를 정비하거나 단속하는 지자체의 손길을 찾아보기 어렵다.

전문가들은 팔공산의 보존 관리를 위해 대구시와 경북도가 손을 맞잡고 체계적 보존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한 방법 중 하나가 국립공원 승격이라는 것.

대구가톨릭대 지리교육과 전영권 교수는 "난개발과 등산로 훼손을 막기 위해 대구시와 경북도가 보존과 개발에 대한 마스터 플랜을 세워야 한다"며 "이런 측면과 함께 팔공산의 중장기 발전을 위해서라도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문제를 본격 논의해야 할 시점"이라고 했다.

대구등산학교 장병호 교장은 "광주 무등산이 곧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는 시점에 맞춰 팔공산도 국립공원으로 승격될 수 있도록 시도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립공원 승격에 대한 신중론도 만만찮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국립공원이 되면 대구시와 경북도의 관리 권한이 크게 줄어 오히려 시도민이 피해를 볼 수도 있다"고 했다.

기획취재팀=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황수영기자 swimming@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