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 한파로 수확 감소, 배추 재배면적도 줄어
주부 심인숙(45) 씨는 요즘 김장 생각에 고민이다. 예전에 11월 중순에 하던 김장을 올해는 12월 초로 미뤘지만, 배추 가격이 떨어질 줄 모르며 고공행진하고 있어서다. 배추 가격은 지난해 이맘때보다 2.6배, 평년 가격보다 1.7배나 뛰었다.
심 씨가 김장 시기를 미룬 것은 김장철 배추 수급을 위해 김장 시기를 열흘 정도 늦추자는 정부의 캠페인 때문이다.
심 씨는 "배추값이 내리기는커녕 지난주보다 포기당 500원이나 올랐더라"며 "정부 캠페인만 믿고 김장 날짜를 잡았는데 가족들이 한 번에 모여 50포기 이상 김장을 하는 우리 집은 김장비용이 몇만원 더 들게 생겼다"고 말했다.
배추 가격이 떨어질 줄 모르고 있다. 때 이른 한파로 배추 수확량이 감소한 탓이다. 지난 9월부터 배추 수급을 맞추려 '김장 늦춰 담그기'를 권해 온 정부의 입장은 난처해졌다.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26일 기준 대구지역 배추(상/10㎏) 도매가격은 9천원으로 일주일 전인 19일 8천원에 비해 12.5%, 2주 전 7천500원에 비해서는 20% 상승했다. 한 달 전인 10월 26일 8천원과 비교해도 1천원 올랐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3천500원에 비해서는 2.6배, 평년 가격인 5천330원 대비 1.7배나 뛰었다.
소매가격도 사정은 비슷하다. 26일 기준 대구지역 배추(상품) 1포기 소매가격은 3천500원으로 2주 전 3천원에 비해서는 16.7%, 지난해 같은 기간 1천715원과 비교해서는 2배 넘게 올랐다.
애초 정부는 11월 들면 배추 출하량이 늘면서 가격이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도 11월 김장철 배추 가격이 10월 대비 20%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하지만 배추 가격은 오히려 상승하고 있다.
주원인은 11월 중순부터 시작된 추위 때문이다. 때 이른 한파로 배춧속이 차지 않아 수확량이 준데다 김장철을 맞아 늘어난 수요가 가격 상승 요인이다.
배추 재배면적도 지난해에 비해 크게 줄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1만3천408㏊로 지난해(1만7천326㏊) 대비 23% 줄어들었다. 농경연은 재배면적을 바탕으로 올해 가을배추 생산량은 135만t으로 지난해보다 29%가량 줄 것으로 전망했다.
대구 농수산물도매시장 관계자는 "산지에서는 농민들이 배추를 비닐로 덮는 등 갖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배춧속이 차지 않아 속만 태우는 상황"이라며 "당분간 한파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대부분 김장이 마무리되는 12월 초까지도 배추 가격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