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핫클릭 1위는 부모와 자식들을 부양하며 힘겹게 살아온 '베이비부머'들의 은퇴가 본격 시작돼 우리 사회 큰 고민거리로 떠올랐다는 기사였다. 베이비부머란 한국전쟁 후 출산 붐이 일어난 1955년부터 산아제한 정책 도입 전인 1963년까지 태어난 현재 중 '장년층을 일컫는다. 전체 700만 명 정도다.
기사에서는 마땅한 노후 대책을 세우지 못한 베이비부머들이 실직 후 너도나도 창업전선에 뛰어들면서 자영업 시장이 포화 상태를 맞는 등 경제적으로 불안 요소를 야기하고 있고, 노후에 따른 건강'가족 문제 역시 고민거리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재취업이 힘든 베이비부머 은퇴자들이 가계소득 감소, 소비 침체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일부가 빈곤계층으로 전락할 경우 복지재정 부담이 늘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2위는 대선 후보들의 대선 자금 펀드를 주목한 기사였다. 국민 모금을 통해 선거 비용을 충당하고, 지지층도 결집하는 '일석이조' 효과로 선거운동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올랐다는 것.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는 15일 청년들을 만난 한 토크 콘서트에서 펀드 출시 계획을 밝혔다. 알려진 목표 총액은 250억원 정도로 법정 선거비용 560억원의 절반을 국민들의 성원으로 채우겠다는 얘기다. 앞서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도 펀드를 출시했고, 문 후보는 200억원을, 안 후보는 100억원을 모았다. 펀드로 모은 돈은 후보가 15% 이상 득표하면 전액 국고로 보조돼 현실적으로 원금 손실 가능성이 없다.
3위는 청와대가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부지 매입 의혹 특검 수사결과 발표에 대해 "수긍할 수 없다"며 비판했다는 기사가 차지했다. 청와대는 특검수사 발표 3시간여 만인 14일 반박 브리핑을 통해 "특검이 내린 일부 결론에 대해 유감을 표시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일부 실체가 없는 사실을 증여로 단정한 부분은 부당하다"고 밝혔다.
한편, 새누리당은 특검수사 결과를 존중한다고 밝혔고, 민주당 등 야권은 청와대의 비협조적 태도로 수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며 다음 정부에서 재수사할 것을 주장했다.
황희진기자 hh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