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내버스 1,561대 '올스톱' 위기

입력 2012-11-21 11:04:38

'택시=대중교통 법 통과땐 22일부터 무기 운행중단"…市, 비상 수송

대구경북을 비롯한 전국 시내'시외버스의 전면 운행 중단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택시를 대중교통 수단으로 분류해 지원하겠다는 내용의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 통과를 앞두고 버스업계가 강력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특히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무기한 운행 중단이라는 초강수를 들고 나오면서 시민들의 교통 불편이 예상된다. 대구도 21일 개정안의 법사위 통과 여부에 따라 1천561대의 시내버스가 전면 운행 중단될 처지에 놓였다.

이번에 대구 시내버스가 전면 운행 중단되면 2004년 이후 8년 만이다. 당시에는 버스운송업체와 노동조합 간 임금 협상 결렬로 시내버스 운행이 8일간 중단된 적이 있었다. 이번 사태의 경우도 버스업계가 정치권과 전면전을 선언하고 나서 운행이 중된될지, 중단되면 언제까지 이어질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버스업계의 집단 반발은 국가 지원금과 깊은 연관이 있다. 택시가 대중교통 수단에 포함되면 기존의 지원 외에 추가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는 만큼 나눠먹기식 배분이 불가피해져 버스 지원금이 줄어들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대구시는 버스업계가 전면 운행 중단에 들어갈 경우 비상수송 대책을 가동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전세버스 여유분이 기존 시내버스 전체 대수에 비해 15분의 1 수준으로 턱없이 부족한데다 택시 부재 해제, 승용차 요일제 해제 등의 임기응변식 대책으로는 시민 불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대구시내에서 운행 중인 택시는 1만1천 대 정도지만 부재를 풀더라도 4천 대 정도 늘어나는 데 그치고 승용차 요일제 해제 역시 하루 평균 1만5천 대 정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정의관 대구시 대중교통과장은 "전세버스 100여 대 정도를 운행하고 일일 도시철도 운행을 총 26회 증편할 계획"이라며 "하지만 주요 운송 수단인 버스 운행이 중단되면 시민 불편은 불 보듯 뻔하다"고 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