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이사 비싸도 안전하다? 소비자 피해는 해마다 늘어

입력 2012-11-10 07:36:50

포장이사비는 해마다 급등했는데도 이사 과정에서 물품 파손 등의 소비자 불만은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포장이사비는 건당 평균 97만3천원으로 지난해(86만8천원)보다 10만5천원이 올랐다. 소비자원은 올해는 평균 100만원을 넘을 것으로 추정했다.

포장이사비는 2007년에는 78만5천원으로 5년 사이 20%가 넘게 급증했다. 포장이사의 건당 최고액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2010년 240만원에서 지난해 400만원으로 160만원이나 뛰었다.

하지만 포장이사 피해는 최근 2년간 매년 25%씩 증가했다. 올 들어 9월까지 접수된 포장이사 피해는 201건으로 이사 가운데 대리석 식탁에 금이 가는 등 가구 훼손이나 파손이 전체의 70.6%(142건)로 가장 많았다.

이사 당일 이사업체가 오지 않거나 계약된 규격보다 작은 차량을 보내는 등 계약사항 미이행(12.4%, 25건), 이사 화물 일부 분실(10%, 20건), 이사 당일 추가 비용 요구 등 가격'요금 관련 피해(6.5%, 13건) 등의 순이었다.

직접 짐을 싸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과 일반 이사보다 안전하다는 장점 때문에 국내 전체 이사 가운데 포장이사 비중은 70%에 달한다.

소비자원은 "이삿짐이 파손되면 이사 당일 업체에 알리고 확인서나 사진을 확보해야 파손 시기에 대한 다툼을 막고 피해 배상을 받기 쉽다"고 밝혔다.

또 이사 전에는 이삿짐 목록과 차량수, 비용 등을 기재한 계약서 작성을 업체에 반드시 요구해야 나중에 계약 사향 미이행 또는 분실과 관련한 소비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소비자원은 "최근 몇 년간 인구 이동이 계속 줄고 지속적인 부동산 경기 침체에도 소비자원에 접수된 이사 관련 피해는 되레 늘고 있다"면서 "소비자는 포장이사라고 안심하지 말고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