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깃줄 끊긴 채 자락길 어귀에
시멘트 기둥으로 홀로 남은 전신주
담쟁이덩굴이 엉겨 붙어
앞으로 옆으로 위로 퍼져 올라가
우뚝 솟은 녹색 두리기둥 만들어 놓았네
폐기된 전신주 꼭대기
담쟁이 더 기어 올라갈 수 없는 곳
바람과 구름을 향해
아무리 덩굴손 허공으로 뻗쳐보아도
이제는 더 감고 올라갈
기둥도 나무도 담벼락도 없네
살아있는 덩굴식물이 한 자리에
그대로 소나무처럼 머물 수 없어
제 몸의 덩굴에 엉켜 붙어
되돌아 내려오네
온갖 나무들 드높이 자라 올라가는
저 푸른 하늘에 앞길이 막혀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아래로 되돌아 내려오며
삶터 잘 못 잡은 담쟁이덩굴이
아름다운 두리기둥 만들어 놓았네
----------------
시인의 삶이 사람에게 삶의 방향을 가리켜 줄 수는 없어도, 시는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시인은 한계가 많은 구체적인 세계에 있지만, 시는 가능성의 공간인 보편적인 세계에 놓여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시는 시인의 삶보다 위대해질 수 있습니다.
시인의 삶이 경험한 담쟁이덩굴은 평범한 식물입니다. 그러나 시 속에 들어온 식물은 삶의 방향을 가리켜 주는 나침반입니다. "삶터 잘못 잡은 삶"이 살기 위해 이리저리 모색한 모든 것들이 결국 "아름다운 두리기둥"이 된다는 그런 절실한 가르침을 주는.
시인·경북대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