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잘 지내…" 귓가 맴도는 남편의 목소리
"여보, 내가 왔어요. 계속 옆에 있을 테니 걱정 말아요."
올 1월 1일, 남들은 새해 맞이의 기쁨을 즐기고 있을 때 노봉오(69·경북 칠곡군 가산면) 씨는 경북 칠곡군 왜관읍의 한 참외 비닐하우스에서 날품팔이를 하다가 갑자기 쓰러졌다. 원인은 뇌출혈. 인천에서 가정부 일하던 아내 김옥순(67) 씨는 서울에 있던 작은아들과 함께 한걸음에 남편이 실려간 대구의 한 병원 응급실로 달려갔다. 노 씨 부부는 중국에서 건너온 지 여섯 해째인 새해 첫날을 병원에서 보내야 했다. 그리고 노 씨는 지금도 대구의료원에 입원해 있고, 아내 김 씨는 노 씨 곁을 지키고 있다.
◆남편의 마지막 말 "내 걱정 마라."
노 씨 부부는 중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중국 동포다. 젊었을 때 노 씨는 중국 심양에 있는 농업기술연구소의 연구원이었고, 김 씨는 심양의 문교국 공무원이었다. 김 씨는 노 씨의 착한 심성에 반해 결혼했다.
"중국에 있을 때 동네 근처에 형편이 어려운 9남매 집이 있었어요. 그 집안 사정을 딱하게 느낀 남편은 그 집 장녀에게 후원금도 주고 결혼도 시켜줬죠. 그만큼 따뜻한 마음을 가진 남편이었어요."
노 씨 부부가 한국으로 넘어온 것은 2006년이었다. 중국에서 61세 이상 중국 국적자들에게 정책적으로 한국 비자를 쉽게 내주던 해였다. 퇴직 후 중국에서 식당을 하던 노 씨 부부는 여행차 한국에 왔다가 한국이 살기 좋은 곳이라는 생각에 눌러앉았다.
맨 처음 정착한 곳은 인천이었다. 남편 노 씨는 주유소 건설 현장에서 낮에는 막노동을, 밤에는 건설현장 경비를 섰다. 노 씨는 특유의 근면'성실함으로 현장에서 인정받았다. 아내 김 씨도 가정부 일을 통해 생계를 꾸려나갔다.
노 씨는 일을 쉬는 법이 없었다. 몇 년 전에는 가로수를 받치는 고임목을 만드는 목재 가공공장에서 2년간 일을 했고, 그 후에는 건설현장과 농사일 날품팔이로 계속 일을 했다.
아내 김 씨는 "목재공장에 남편을 만나러 간 적이 있는데 그때 공장 사장과 주변 동료들이 '정말 남편 잘 만나신 것 같다. 이렇게 근면'성실한 분을 못 봤다'며 칭찬해 주더라"고 했다.
하지만 너무 무리한 탓이었을까. 올 정초 노 씨는 자신이 일하던 참외 비닐하우스에서 쓰러졌다. 원인은 뇌출혈. 평생 감기 한 번 앓아본 적 없었던 노 씨였던 터라 충격이 더했다.
노 씨는 이날 오전 5시쯤 아내 김 씨에게 전화해 "잘 지내고 있으니 내 걱정 말고 일 잘하고 있어"라는 말을 전했다. 그러나 이는 노 씨가 한 마지막 말이었다. 노 씨는 쓰러진 뒤 아직 김 씨에게 한 마디도 전하지 못하고 있다.
◆병마, 빚과의 전쟁
노 씨가 쓰러진 뒤 노 씨가 일하던 곳 근처 병원에선 "뇌출혈이어서 빨리 수술해야 하는데 이곳에서는 수술이 불가능하다"는 진단을 내려 노 씨는 수술이 가능한 대구 서구의 한 병원으로 옮겨졌다.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다. 하지만 문제는 수술비와 병원비였다. 중국에 남아 있던 재산은 이미 중국에 있는 큰아들의 심장병 치료에 모두 사용한 터라 노 씨 부부에겐 수술비를 감당할 만한 돈이 없었다.
노 씨의 작은아들이 병원비 해결에 나섰다. 그때만 해도 서울에서 건설 일용직과 골재채취장 등에서 일하던 작은아들은 함께 일하던 동료와 친구들에게서 돈을 빌려왔다. 빌린 돈으로 병원비와 수술비는 겨우 해결했지만 문제는 지속적으로 들어가는 입원'치료비였다.
다행히 노 씨는 올 6월 21일 대구의료원으로 병원을 옮기면서 보건복지부에서 시행 중인 외국인근로자 등 소외계층 의료서비스를 통해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마저도 한도액 1천만원 중 이미 700만원을 사용한 상태다.
게다가 작은아들이 빌린 2천120만원은 고스란히 빚으로 남았다. 서울에서 일하던 작은아들은 사장에게 "아버지 병원비를 내야 하니 일당을 조금 올려달라"고 부탁했지만 거절당했다. 작은아들은 돈을 더 주는 곳을 찾아 울산으로 내려가 일하고 있다. 김 씨는 작은아들이 아버지 병원비 마련에 고생하는 모습을 보면 안타까워 가슴을 친다.
"얼마 전에 작은아들과 통화를 했는데, 요즘은 집에 일찍 들어가지도 못한대요. 집 앞에 빚을 받으러 온 옛 동료와 친구들이 기다리고 있어 도저히 집에 들어갈 수가 없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12시 넘어 들어가 오전 4시에 나오는 생활을 반복하고 있다고 합니다."
◆"난 당신 절대 포기 못 해"
아내 김 씨는 키가 160cm가 안 된다. 작은 몸으로 병상에 누워있는 남편을 움직이다 보니 김 씨의 몸에도 문제가 생겼다. 허리디스크가 발병한 것이다. 김 씨는 하루도 진통제 없이는 버틸 수 없지만 치료를 받을 돈도 시간도 없다.
김 씨는 "허리가 안 아플 때는 그래도 남편에게 바깥 바람을 쐬게 했지만 지금은 아예 할 수가 없다"며 "남편이 온종일 누워있는 탓에 욕창까지 심해지고 있어 걱정"이라고 했다.
수중에 돈이 없는데다 작은아들도 울산으로 직장을 옮긴 지 얼마 되지 않아 당장 쓸 돈도 없는 상태다. 김 씨가 남편을 간호하면서 돈 때문에 겪는 가장 현실적인 고통은 밥을 사먹을 돈이 없다는 것이다. 김 씨는 주변 환자나 보호자가 남기거나 먹으라고 준 음식을 먹거나 지나가면서 김 씨를 안타깝게 본 한 수녀가 가끔 건네주는 식권으로 끼니를 때우기도 한다. 때로는 굶는다.
하지만 김 씨는 남편을 포기할 수 없다. 김 씨에게 남편은 너무나 소중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수술 후 의식도 21일 만에 회복했고, 지금은 손과 발에 감각과 돌아오고 있으며, 김 씨 말에 노 씨는 눈을 깜빡거리며 답하기도 한다. 김 씨는 "남편의 상태가 점점 좋아지고 있기 때문에 희망의 끈을 놓지 못한다"고 했다.
"남편은 제게 너무 소중한 사람입니다. 주변에서 '너무 힘드니 포기하라'는 말도 들었지만, 이렇게 착하게 살아왔고 내게 이렇게 따뜻하게 대해 준 사람을 어찌 버린단 말입니까? 전 제 남편 절대 포기 못 합니다."
이화섭기자 lhsskf@msnet.co.kr
※이웃사랑 계좌는 '069-05-024143-008(대구은행), 700039-02-532604(우체국) ㈜매일신문사'입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