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도 '4년중임제' 개헌 화답…대선 후보 빅3 공감대

입력 2012-11-01 10:49:50

대선 후보 빅3가 '개헌'(改憲)에 공감대를 보이면서 개헌 논의가 뜨거워지고 있다.

개헌에 대한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던 안철수 무소속 후보가 '분권형 대통령제'나 '대통령 4년 중임제'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안 후보는 지난달 김덕룡 이부영 전 의원 등 분권형 개헌을 주장한 정계 원로들과 만나 분권형 대통령제로 가야 한다는 원로들의 주문에 "연구해 보겠다"고 답했다. 다만 차기 대통령 임기를 1년 6개월 줄여 2016년 20대 총선과 시기를 맞추는 부분에 대해선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개헌 담론에 가담한 것이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도 분권형 대통령제 혹은 정'부통령제 등을 놓고 조율 중이다. 박 후보로서는 야권 후보가 개헌을 단일화의 연결고리로 활용한 데 따른 대항 이슈로 개헌론에 동참하면서 여야의 차별성을 희석시킬 수 있고, 분권형 개헌을 주장하는 이재오 의원 등 친이(친이명박)계와 정치 원로를 흡수하는 보수결집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새누리당 정치쇄신위도 최근 개헌 공약을 박 후보에게 제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구체적인 개헌 시기와 내용은 집권 초 논의기구를 만들어 확정하는 방안이 제시됐다고 한다.

개헌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이슈 폭발성을 세 후보의 '개헌론'은 점차적으로 구체화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문재인 민주당 후보는 "꼭 필요한 개헌 과제는 집권 초에 하고, 나머지는 장기 과제로, 국회에 특별논의 기구를 둬서 하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임기 내 개헌할 뜻이 있음을 분명히 하면서 안 후보가 원하는 '정치쇄신'에 조금씩 화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만약 박 후보가 차기 정부 때부터 임기를 줄이기로 한다면 일종의 '기득권 내려놓기'로 해석될 수 있다. 100% 국민대통합을 외치고 있는 박 후보로서는 국민통합의 상징성이 큰 인물을 일종의 러닝메이트로서 정'부통령제도 염두에 둘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 후보는 자신으로 단일화됐을 경우와 그 반대의 경우를 모두 감안해 이미 '공동정부론'을 내놓은 상태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