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친노 막강조직…국민경선은 싫어"

입력 2012-10-30 10:01:05

단일화 여전히 평행선

대선이 50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야권 대선후보 단일화 작업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민주통합당은 이번 주 들어 단일화를 위한 안철수 무소속 후보의 결단을 요구하며 대대적 공세에 나서고 있지만 안 후보 측은 여전히 여유로운 자세를 보이고 있다.

우상호 선대위 공보단장은 30일 브리핑에서 "이제 단일화 논의가 시작돼야 한다. 곧 11월 초"라며 "언제까지 단일화 논의를 늦추겠다는 것인지 안 후보 측에 공식 질문한다"고 밝혔다. 우 단장은 "후보등록(11월 25∼26일) 전 단일화를 하려면 11월 중순까지는 단일화 절차가 진행돼야 하는데 어떤 절차든 합의를 진행하고 실행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며 "늦어도 다음 주부터는 구체적 협상이 진행돼야 등록 전 단일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후보 단일화 방식에서조차 문재인 민주당 후보와 안 후보 측은 뚜렷한 이견을 보이고 있다.

당초 출사표를 던진 야권 대선 후보들이 입을 상처를 최소화를 위해 검토됐던 '후보간 담판' 방식은 이미 물 건너간 상태다. 국민에게 '담합'으로 비쳐질 경우 단일화 효과가 전혀 발휘되지 못하는 것을 넘어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민주당은 완전참여형 국민경선에 의한 후보단일화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안 후보는 여론조사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문 후보 측은 당은 물론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지지 진영이 조직력을 십분 발휘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기대하고 있다. 백 보 양보하더라도 국민참여경선과 여론조사가 병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국민참여경선은 지지층을 단단히 결속시켜주는 효과가 있다"며 "보수층 결집에 나선 새누리당에 맞서 정권을 되찾아오기 위해서는 국민참여경선 수준의 이벤트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맞서는 안 후보 진영은 여론조사 방식에 의한 후보단일화를 주장하고 있다. 국민참여경선 방식의 경우 민주당 당내 경선 과정에서 당심과 배치된 결과가 나왔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데다 문 후보가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한 2002년 대선 후보 단일화(노무현-정몽준) 역시 여론조사 방식에 의한 단일화였기 때문이다.

안 후보 측 관계자는 "당과 친노 진영이라는 막강 조직을 보유한 민주당이 눈 가리고 아옹하듯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요구하고 있는 태도에 실망감을 감출 수 없다"며 "민주당이 야권 대선후보 단일화를 요구하는 국민적 여망에 부응할 수 있는 자세와 진정성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