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 1호기가 어젯밤 또 터빈 발전기 이상으로 멈춰 섰다. 올 들어서만 4번째이고 울진원전 2호기가 고장으로 가동 중단된 지 하루 만이다. 지난 2일 신고리 1호기와 영광 5호기가 동시에 고장 난 데 이어 이번 달만 4번째다. 울진원전의 경우 전체 6기 중 3기가 가동이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를 맞고 있다. 다음 달 20일 설계 수명이 끝나는 월성원전 1호기는 10년 연장 운전을 두고 한국수력원자력과 주민들 간 마찰을 빚고 있는 중이다.
원전의 관리 책임은 전적으로 한국수력원자력에 있다. 국민들은 비교적 값싼 에너지 확보를 이유로 한수원에 안전을 담보로 맡겨 두고 있다. 그런 한수원의 원전 관리 능력에 구멍이 뚫린 것이다. 한수원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은 온통 불신투성이다. 잦은 고장 정지는 언제라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국민들 가슴속에 자리하고 있다.
가뜩이나 한수원은 지난 7월 임직원들의 뇌물 수수 혐의로 대대적인 검찰 조사를 받았다. 임직원들의 비리 혐의가 드러나 곤욕을 치렀고 납품 비리 업체도 33개 업체에 달했다. 최근 국감에서는 이 같은 비리 업체 중 상당수가 여전히 한수원과 거래를 하고 있고 이들 업체가 제공한 부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질타를 받았다.
우리나라는 원전 운영 노하우가 30년 축적된 나라다. 세월이 이만큼 축적되면 웬만해선 고장 정지가 0건으로 수렴해 가는 것이 정상이다. 그럼에도 고장 정지 건수는 오히려 해를 거듭하며 늘고 있다. 지난 2010년 2회던 고장 정지 건수가 지난해엔 7건, 올 들어서는 현재 9건이다. 시험 가동 중 정지된 건수를 포함하면 13건에 달한다. 국민이 불안해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원전 관리에는 한 치의 빈틈도 있을 수 없다. 이는 오로지 한수원이 해내야 할 몫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