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의 사생활 - 김추인
보츠와나,
그곳에 가면 푸지게 잘 자라서 까마득히
하늘로 뿌리 뻗고 사는
바보 같은 나무가 있는데요
바오밥나무라는 그 이름
'거꾸로 선 나무'라는 뜻인데요
우듬지에 얼기설기 벋어 간 것이
속절없는 뿌린데요
가시도 뿔도 없어
날랜 다리도 없어
갑옷도 독도 없으니
배고픈 사막의 식구들로부터
제 연한 이파리와 열매를 지킬 방법은
착시 효과라네요
뿌리처럼 질기고 맛없어 보이기 위함이라네요
생각 없는 식물이라 함부로 말하지 말아요
립스틱 짙게 바르고 싶은
내 위장술과도 별로 멀지 않네요
-------------------------------------------------
시는 시인 자신과 세계의 닮은 모습을 알아차리고, 세계를 자신 속으로 끌어안는 느낌을 기록한 것입니다. 우리 시대가 나와 남의 차이를 강조하며 막막한 사막으로 나아갈 때, 시는 지속적으로 우리가 서로 닮았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거꾸로 선 나무'라는 바오밥나무는 착시 효과라는 방법으로 삶을 살아가는 순박한 존재입니다. 가지를 뿌리처럼 보이게 한다지요. 시인은 그런 나무에서 문득 립스틱 짙게 바르는 자신을 발견합니다. 이 교활한 시대에 이토록 순박한 위장술이라니요!
박현수<시인·경북대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