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불산 피해 복구와 대책, 단기 처방 안 된다

입력 2012-10-12 11:04:15

정부가 11일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열고 불산 누출 사고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구미 지역에 대한 지원과 복구 등 세부 계획을 확정했다. 세부 계획에는 불산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돼 피해를 입은 주민 건강 조사와 농축산물 피해 보상 및 폐기 등의 대책이 포함돼 있다. 불산의 이동과 잔류 형태 조사를 실시해 대기와 수질'토양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크고 작은 독성 화학물질 관련 사고가 있었지만 이번처럼 피해가 광범위하고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사례는 이번 구미 불산 누출 사고가 처음이다. 게다가 당국의 늑장 대응에다 주먹구구식 대처로 인해 생태계 파괴 등 2차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관련 대응이 보다 치밀하고 근본적인 대책이 되어야 함은 두말할 여지가 없다.

전문가들은 불산의 특성상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노출이 아니라면 장기적으로 인체에 후유증이 나타날 가능성은 낮다고 말한다. 하지만 독성 화학물질로 인한 인체와 생태계, 토양'수질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여파는 유동적이고 점진적이다.

단기간에 문제가 해결되거나 회복되기 힘들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이미 일부 지역에서 불산에 노출된 과일이나 열매를 먹은 것으로 보이는 동물 사체가 다수 발견되고 멧돼지와 조류 등 야생동물들이 자취를 감췄다는 주민 신고가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생태계 파괴 양상이 예상을 뛰어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상황이 이런 만큼 늦었지만 철저한 환경 영향 조사를 바탕으로 복구 계획을 세우고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생태 환경 회복에 힘을 쏟아야 한다. 향후 비슷한 사고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독성화학물질정보센터 설치 등 시스템을 체계화해 재해 관리 능력도 더욱 키워 나가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