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국립대 공동학위제는 옳지 않다

입력 2012-10-10 07:38:01

민주통합당이 국립대 공동학위제를 추진하겠다고 한다. 내용은 서울대를 포함한 국립대 공동선발, 공동학위제, 반값등록금 등을 실시하고 국립대 서울캠퍼스, 국립대 부산캠퍼스 등으로 부르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1등만 기억되는 세상을 없애기 위해, 서울대 독점구조를 깨기 위해 이렇게 한다면 무모한 짓이다. 대학 교육의 평준화보다는 대학 교육의 특성화가 필요하다.

1973년도 정부는 3개의 지방 국립대를 특성화 학과로 지정하였다. 전남대 화학과, 부산대 기계공학과, 경북대 전자공학과로 기억된다. 그리고 전남 여수에 화학공단을 만들고 창원에 기계공단, 구미에 전자산업단지를 조성하였다. 산'학'연을 연동한 계획이었다. 필자도 그 가운데 하나인 경북대 전자공학과 출신이다.

경북대 전자공학과는 1973년 특성화 학과로 지정된 이후 매년 250명의 신입생을 모집했다. 특히 1978년에는 600명을 모집하고, 1979년에는 800명, 1980년 800명, 1981년 600명을 모집하는 등 4년 동안 2천800명이라는 IT 인력을 길러냈다. 2천800명은 정원이 100명인 학과에서 28년 동안 길러야 배출되는 숫자다.

인재 육성과 더불어 정부는 대규모의 인력들이 활약할 무대와 이들을 이끌어줄 해외 박사들을 많이 영입하여 성장환경을 제공하였다. 특성화 학과에서 육성된 수천 명의 인력은 대기업 또는 구미산단과 대덕연구단지 등으로 취업하여 연구개발과 기술발전에 기여하였다. 우리나라 1960년대 수출품은 철광석'텅스텐과 같은 천연자원이었고, 1970년대에는 신발'장난감'가발 등의 경공업제품, 1980년대 후반부터 철강'기계'전자제품이 자리를 차지하기 시작하면서 지난 30년간 우리 경제를 견인한 산업분야는 전자, 조선, 자동차, 화학 분야였다.

결국 우리는 1970년대 뿌려놓은 씨앗으로 먹고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우리 후손들은 뭘 먹고 살아야 할까? 지금쯤이면 우리나라 주요 수출품목에 바이오 또는 소재 등 뭔가 새로운 것이 붙어야 하는데 뿌려진 씨앗이 없는 건지 아니면 아직 열매를 못 맺었는지는 모르겠다.

국립대 공동학위제가 아니라 지역별 핵심 산업을 특성화하고 각 지방의 거점대학인 국립대 특성화대학을 지정하여 필요하면 장학금과 혜택을 주고 그 과만큼은 우리나라 최고의 학과가 되도록 하여 지역경제의 밑거름이 되고 국가산업발전의 역군이 되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

권은희/국회의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