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병무청·보훈청 부지 등 5곳
국채보상로에서도 경삼감영공원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대구시가 시내에 있는 정부기관 부동산과 시유지 간 맞교환을 정부와 추진하고 있기 때문.
대구시 관계자는 4일 "대구 소재 정부 기관과 시유지 간 교환을 위해 기획재정부와 양해각서를 맺은 상태로 구체적인 협의를 하고 있다"며 "정부가 각 부처별 소유재산을 재정부로 일원화하기로 하면서 정부와의 협상이 탄력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시가 맞교환을 추진하는 정부기관은 연말부터 달서구 대곡동 정부합동청사로 입주하는 대구지방국세청, 대구지방환경청, 대구본부세관, 대구지방보훈청과 내년 동구 신서혁신도시로 이전 예정인 대구경북지방병무청 등 5개.
시는 당초 대구고용노동청 북부지청도 교환대상에 넣었지만 이 청사는 기금으로 건립돼 제외했다.
시가 이들 기관 터와 맞교환을 위해 내놓을 땅은 국립대구박물관(수성구 황금동) 주변 시유지 10만1천㎡다. 이들 공공이전기관의 부동산 가격은 공시지가로는 500억원대이지만 시가로는 몇 배에 이를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시는 공공기관과 시유지 맞교환이 성사될 경우 시 재정에도 상당한 보탬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립대구박물관 주변 부지는 활용도가 제한돼 있는데다 공공기관 청사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경상감영공원 앞에 있는 대구경북지방병무청의 경우 시는 건물을 헐어 국채보상로에서도 경상감영공원을 조망할 수 있도록 광장 등을 조성, 대구 문화역사를 대표하는 공간으로 개발한다는 구상도 세워두고 있다. 또 면적이 넓은 일부 기관에는 뿔뿔이 흩어져 있는 대구시 각 부서를 집결시키고 동대구로에 맞닿은 대구세관의 경우 동대구복합환승센터와 연계해 대구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관문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맞교환을 위해선 풀어야 할 과제가 많고 다소 시일도 걸릴 것"이라면서도 "지금까지는 협의가 잘 되고 있어 결과를 낙관하고 있다"고 했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