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유지 줄게, 국유지 다오…대구시, 정부기관 땅 교환 추진

입력 2012-10-04 11:22:53

지방병무청·보훈청 부지 등 5곳

국채보상로에서도 경삼감영공원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대구시가 시내에 있는 정부기관 부동산과 시유지 간 맞교환을 정부와 추진하고 있기 때문.

대구시 관계자는 4일 "대구 소재 정부 기관과 시유지 간 교환을 위해 기획재정부와 양해각서를 맺은 상태로 구체적인 협의를 하고 있다"며 "정부가 각 부처별 소유재산을 재정부로 일원화하기로 하면서 정부와의 협상이 탄력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시가 맞교환을 추진하는 정부기관은 연말부터 달서구 대곡동 정부합동청사로 입주하는 대구지방국세청, 대구지방환경청, 대구본부세관, 대구지방보훈청과 내년 동구 신서혁신도시로 이전 예정인 대구경북지방병무청 등 5개.

시는 당초 대구고용노동청 북부지청도 교환대상에 넣었지만 이 청사는 기금으로 건립돼 제외했다.

시가 이들 기관 터와 맞교환을 위해 내놓을 땅은 국립대구박물관(수성구 황금동) 주변 시유지 10만1천㎡다. 이들 공공이전기관의 부동산 가격은 공시지가로는 500억원대이지만 시가로는 몇 배에 이를 것으로 시는 보고 있다.

시는 공공기관과 시유지 맞교환이 성사될 경우 시 재정에도 상당한 보탬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립대구박물관 주변 부지는 활용도가 제한돼 있는데다 공공기관 청사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경상감영공원 앞에 있는 대구경북지방병무청의 경우 시는 건물을 헐어 국채보상로에서도 경상감영공원을 조망할 수 있도록 광장 등을 조성, 대구 문화역사를 대표하는 공간으로 개발한다는 구상도 세워두고 있다. 또 면적이 넓은 일부 기관에는 뿔뿔이 흩어져 있는 대구시 각 부서를 집결시키고 동대구로에 맞닿은 대구세관의 경우 동대구복합환승센터와 연계해 대구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관문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맞교환을 위해선 풀어야 할 과제가 많고 다소 시일도 걸릴 것"이라면서도 "지금까지는 협의가 잘 되고 있어 결과를 낙관하고 있다"고 했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