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은 한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이다. 결실의 시점에 맞이하는 한가위는 조상의 은덕에 감사하고 가족과 친지, 이웃과 서로 함께 나누는 명절 중의 명절이라는 점에서 급격한 시대의 변화에도 그 정신과 의미만큼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올해도 명절을 거꾸로 쇤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국내외 경제 사정이 좋지 않아 국민들 특히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모두가 즐겁고 만족스러워야 할 명절이 갈수록 경제적, 심리적으로 부담이 되고 있는 것은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명절의 의미와 정신이 옅어지고 퇴색하는 것은 대단히 유감스러운 일이다. 명절을 맞아 사회복지시설에 작은 정성이라도 보태는 손길이 줄어든 지 오래고, 저소득 계층의 소외감이 갈수록 깊어져 거의 절망의 단계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최근 몇 년 새 우리 사회에 '복지 논쟁'이 가열되고 있는 것은 해를 거듭할수록 확대되는 양극화 현상 등 사회구조적 모순의 결과임을 부인할 수 없다.
무엇보다 올 추석은 그 어느 해보다 어렵고 뒤숭숭한 명절이 되고 있다. 국제적인 불황 여파로 유가 등 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데다 연이은 태풍에 재난을 당한 국민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다. 게다가 약 3개월 앞둔 대선을 핑계로 민생은 아예 뒷전이다. 정치권이 아무리 '추석 민심'이니 하며 떠들어도 국민 입장에서는 정치인들이 그냥 해보는 소리로 치부될 뿐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지난 태풍 '산바' 때 수몰 등 피해를 입은 지역들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최종 결정돼 복구 작업에 활기를 찾을 것이라는 소식이다. 행정안전부가 26일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태풍 피해를 입은 경북 성주와 고령군, 포항'경주'김천시 등 전국 15개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확정했다. 당국은 재난 지역에 대한 신속한 국고 지원으로 피해 복구가 순조롭게 이뤄지고 이재민들이 조금이라도 시름을 덜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너나 할 것 없이 몸과 마음이 움츠러드는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형편이 더 어려운 사람들을 잊지 않고 위로하며 함께하는 명절이야말로 더욱 의미가 깊다. 굳이 명절이 아니더라도 함께 돕고 나누는 공동체 의식이 우리 사회에서 널리 확산된다면 그 사회는 진정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인 것이다. 올 추석은 이런 다짐과 실천을 통해 그 어느 해보다 뜻깊은 명절이 되기를 기원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