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테크노폴리스 입주기업과 시너지 효과
경북대가 추진 중인 '미래융복합캠퍼스' 조성사업은 현재 경북대의 캠퍼스 과밀 현상을 해소할 뿐 아니라 연구집적단지를 통한 대형 국책사업 유치가 쉬워져 대학 경쟁력 강화와 지역 기술산업 견인이라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대 측은 "3D융합산업과 레이저사업 등 수백억원 규모의 대형 국책사업들을 지식경제부로부터 유치했지만 현재 포화상태인 '산격캠퍼스'에서는 연구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며 새 캠퍼스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경북대 산격캠퍼스의 과밀화 현상은 심각한 수준이다. 2011년 대학정보공시에 따르면 경북대 학생 1인당 교지면적은 41.2㎡로 주요 국립대 평균인 66.8㎡에 턱없이 못 미친다. 비좁은 캠퍼스에 신축건물들이 연이어 들어서면서 교지면적 대비 건물면적 비율도 주요 국립대 평균인 40.6%보다 훨씬 높은 67.1%에 달한다. 경북대 측은 "새 캠퍼스가 조성되면 연구'수업 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했다.
무엇보다 경북대는 미래융복합캠퍼스를 통해 대형 국책사업을 유치하는 데 유리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
경북대는 지난해 대구'광주'구미시가 공동참여하는 3D융합산업육성계획의 총괄기관 자격으로 600억원짜리 '3D융합기술지원센터'를 지식경제부로부터 유치했다. 이 센터는 미래융복합캠퍼스에 가장 먼저 지어질 건물이다. 3D융합산업육성계획은 총 3천200여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경북대 IT대학 김현덕(사진) 교수는 "그동안의 3D기술은 영화'방송에 국한됐지만 앞으로는 의료, 자동차, 로봇 등 다양한 분야로 쓰임새가 넓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센터에는 경북대가 지난해 지식경제부로부터 따낸 300억원의 규모의 '레이저응용기술센터'도 들어설 예정이다.
미래융복합캠퍼스가 조성되면 3D사업, 레이저사업 이외에 로봇, 스마트 센서 등 다양한 분야의 국책 사업 유치 길이 열린다. 대학 측은 "새 캠퍼스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캠퍼스 연구단 유치 등 각종 국책사업을 수행하는 데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사업은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환경을 구축하고 연구와 비즈니스가 융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6년간 총 5조2천억원이 투입되는 초대형 국책사업이다.
지역 경제발전 효과도 기대된다. 미래융복합캠퍼스가 조성되면 테크노폴리스 내 산업체들과의 교류가 촉진된다. 이에 따라 기초학문과 응용연구가 함께 진행되면서 경북대가 산업화 기술 연구의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다. 이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지난 6월 '지역대학 발전방안'으로 강조한 대학'기업 간 기술이전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과제와도 맞아떨어진다. 대구시 관계자는 "경북대 미래융복합캠퍼스가 조성되면 테크노폴리스 내 첨단기업들과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테크노폴리스~대구수목원 간 자동차 전용도로(4차로'12.6㎞)가 2014년 12월 완공되고, 상인~범물 간 4차 순환도로도 올 연말 부분 개통예정이어서 산격캠퍼스에서 미래융복합캠퍼스까지 차량으로 30~40분 거리로 접근성도 좋아질 것이라고 경북대는 내다보고 있다.
경북대 측은 "미래융복합캠퍼스는 테크노폴리스 내 각종 연구시설, 산업단지 등 R&D클러스터와 밀착함으로써 지역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최병고기자 c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