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 침체따라 수익률 뚝…자산운용·증권사 자본잠식 심각
글로벌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금융투자회사의 운명도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4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등 금융투자회사의 자본 잠식이 심각한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자본력이 약한 일부 중소형사는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나와 새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자본잠식이 가장 심각한 곳은 자산운용사다. 6월 말 현재 자산운용사 82곳 가운데 41.5%인 34곳이 납입자본금을 까먹고 있는 상태다. 자기자본비율을 채우지 못해 퇴출된 와이즈에셋자산운용은 자본잠식률이 77.2%에 달했으며 한주(71.8%)와 RG에너지(70.2%)도 자본잠식률이 70%를 넘었다. 또 에스크베리타스(67.6%) 베스타스(64.1%) 마이애셋(47.8%) 블랙록(46.9%) GS(44.1%) 아쎈다스(42.7%) 더커(41.0%) 지지(36.2%) JP모간(16.9%) 도이치(16.3%) 등도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증권사는 62곳 중 16.1%인 10곳이 자본잠식 상태인 것으로 밝혀졌다. 코리아RB가 58.8%로 자본잠식률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비오에스(47.3%) 알비에스아시아(29.8%) 애플투자(22.5%) 한맥투자(17.4%) 바클레이즈(9.5%) 한국SC(4.4%) 바로투자(1.8%) IBK투자(1.3%) 토러스(0.7%) 등의 순이었다.
금융투자회사의 무더기 자본잠식 원인은 경기 침체와 과당 경쟁 등으로 적자 폭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수수료 수익에 의존하는 업계의 수익 구조도 한몫을 했다는 평가다.
올 1분기(4~6월) 증권사의 당기순이익은 2천163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72.7%(5천766억원) 줄었고 62곳 중 21곳이 적자를 기록했다. 1분기 자산운용사도 82곳 중 34곳이 적자를 냈다.
금융투자회사의 상황이 전반적으로 악화되면서 증권가에서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솔로몬투자증권이 매물로 나온 데 이어 일부 중소형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의 매각설이 거론되면서 M&A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아직 완전 자본잠식 상태인 금융투자회사는 없지만 적자 폭이 커져 자본금이 바닥나면 결국 도산할 수밖에 없다. 현재로서는 수수료 수익에 의존하는 구조를 쉽게 개선할 수 없어 당분간 적자 행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금과 같은 시장 환경이 계속되면 중소형사 중에는 생존하지 못하는 곳도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경달기자 sara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