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의 상주캠퍼스 특성화 방안을 두고 상주의 시민단체와 상주대 동문이 반발하고 있다. 경북대는 축산대학 정원을 늘리고 일부 학과를 신설하는 상주캠퍼스 특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와 동문은 10여 개 학과를 대구 캠퍼스로 통합 이전했고, 야간학부도 폐지하면서 학교 규모가 크게 줄어 지역 발전에도 큰 손실이 있다는 주장이다. 경북대와 상주대의 통합은 교육과학기술부의 국립대 구조 개혁과 관련해 2005년부터 추진됐다. 몇 차례 협상과 결렬을 거듭하다 지난해 신학기부터 완전히 통합돼 현재에 이른다.
상주 쪽이 반발하는 이유는 통합 당시 제시한 상주캠퍼스 활성화 방안이 전혀 지켜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노인병원 분원 설치, 동물병원 신축, 생물생태자원 분관 설립 등과 같은 것이다. 이 방안의 실현이 겉돌고 있는 상태에서 통폐합이 이뤄져 통합 전보다 학생 수는 700여 명, 교수와 교직원 수는 반으로 줄었다. 다급한 통합을 위해 지키지도 못할 약속을 한 셈이다.
현재 경북대의 상주캠퍼스 특성화 방안을 막을 방법은 없다. 통합 당시의 약속 준수 여부에 대해 시시비비를 가릴 대화 상대가 없기 때문이다. 이미 상주캠퍼스의 교수와 교직원은 옛 상주대 소속이 아니라 경북대 소속이어서 당연히 학교 운영 방침을 거스를 이유가 없다.
그러나 경북대가 이를 빌미로 약속을 흐지부지하고 몇몇 과의 신설 정도로 특성화를 추진하려는 것은 옳지 않다. 물론, 통합 당시 약속을 다 지키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상주의 여론을 최대한 수렴해 그 약속 실천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 또한 상주시도 지역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이 문제를 시민단체와 동문에게만 맡길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나서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