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7대 주요 도시 비교…日 도쿄 10만 6천원 최고
'스마트폰 요금이 우리나라는 3만9천원, 일본은 10만6천원.'
도쿄, 뉴욕 등 세계 7개 주요 도시 중 우리나라 서울 이용자들이 내는 요금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이 지난달 28일 발표한 통신요금 국제 비교 결과에서 서울의 스마트폰 요금이 2천702엔(약 3만9천원)으로 도쿄, 뉴욕, 런던, 파리, 뒤셀도르프, 스톡홀름 등 7개 도시 중 가장 낮았다.
총무성은 도시마다 1위 통신사업자인 SK텔레콤(서울), NTT도코모(도쿄), 버라이즌 와이어리스(뉴욕), O2(런던), 오랑주(파리), T모바일(뒤셀도르프), 텔리아소네라(스톡홀름)의 요금제를 비교했다. 기준은 음성 61분, 데이터 1.6GB, 문자 438건(발신 215건)을 이용했을 때 부과되는 통신비다.
서울에 이어서는 스톡홀름, 파리, 런던, 뉴욕, 뒤셀도르프, 도쿄 순으로 스마트폰 요금이 저렴했다. 일본 도쿄의 경우 스마트폰 월 이용료가 7천357엔(약 10만6천원)으로 세계 주요 7개 도시 중 가장 비쌌다. 총무성은 "일본의 데이터 통화료가 상대적으로 높고 엔고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
구매력평가지수(PPP)를 반영한 환율로 계산하면 서울의 스마트폰 요금(5천209엔)은 스톡홀름(3천603엔)과 파리(4천808엔)에 이어 3번째로 낮았다. PPP 환율을 적용하면 국가 간 소득 수준과 물가의 차이 등으로 소비자가 체감하는 상대적인 부담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일본 총무성은 지난해까지 스마트폰과 일반 휴대전화(피처폰) 구분없이 도시 간 요금을 비교해왔으나 올해는 스마트폰 요금을 별도로 조사했다.
피처폰으로 음성 99분, 문자 438건(발신 215건), 데이터 155MB를 사용한 기준으로 서울의 요금은 시장환율 기준으로 가장 저렴했고, PPP 환율을 기준으로 하면 4번째로 낮았다. 일반 휴대폰 이용료도 도쿄가 6천687엔(약 9만7천원)으로 가장 비쌌다.
음성통화 요금을 시장환율로 비교했을 때 서울의 요금은 소량(7분) 3위, 중량(99분) 2위, 대량(214분) 1위로 음성통화 사용량이 많을수록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