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서 출토된 중국 당삼채 감상해 보세요

입력 2012-08-30 14:19:40

국립경주박물관 9점 테마전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경주지역에서 출토된 중국 당삼채(唐三彩) 9점을 한자리에 모은 테마전을 11월 30일까지 연다. 이번 전시는 경주지역 출토 당삼채의 색과 문양을 중국 본토 출토품과 비교함으로써 생산지를 알아보는 시도도 아울러 실시된다.

경주에서 확인되는 당삼채 중 완전한 모습을 유지하는 유물은 경주 조양동 출토 삼채복(세 발 달린 항아리)과 월성 출토 삼채 호루라기가 있다.

이 밖에 분황사 출토 오리모양잔을 비롯해 경주 왕경유적, 나정, 황남동, 동천동, 월지, 황룡사지, 미탄사지 등지에서 파편이 확인됐다. 이 중에서도 조양동 출토품과 흡사한 당삼채는 중국의 허난성 출토품이 있다.

당삼채는 당나라 전기(7세기 말~8세기 초)에 주로 제작된 도자기 중에서도 각종 색깔을 화려하게 넣은 도자기를 이르는 용어로, 근'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약간 붉은색이 감도는 백토(白土) 표면에 녹색, 황색, 홍갈색의 세 가지 색깔이 주로 난다고 해서 삼채, 즉, 세 가지 색채라고 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백색, 푸른색, 검은색 등 다양한 색이 있다.

이런 당삼채는 화려한 빛깔을 내는 납 유약(연유'鉛釉) 계통을 사용하지만 납은 인체에 유해한 까닭에 음식을 담는 일상 용기가 아니라 장식용 기물이나 무덤 껴묻거리로 애용하곤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