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수자원공사 대구권 취수원 이전 논의 배경
낙동강의 각종 오염사고로 대구권 시도민들의 안전한 취수원 확보가 시급한 가운데 국토해양부와 한국수자원공사 등이 구미지역 취수장의 상수원 보호구역을 해제하는 대안을 마련, 대구권 취수원 이전작업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국토부 등은 구미시의 동의를 전제로 구미 지방 3개 취수장의 상수원 보호구역을 해제하는 대신 해평 광역취수장을 대구권 식수원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와 대구시 등은 2010년 구미 일선교 부근에 대구권 광역취수장을 계획했으나 구미권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낙동강 수계에는 1991년 구미 페놀 오염 사고를 비롯해 1994년 달성 벤젠'톨루엔 악취 사고, 2006년 구미공단의 퍼클로레이트 오염 사고, 2009년 구미 1, 4-다이옥산 오염 등 최근 20여 년간 8차례나 오염 사고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증가했고, 특히 낙동강 오염사고로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는 대구시는 오염사고에서 안전한 취수원 확보가 시급했다.
구미공단 등 낙동강 오염원에 노출된 250만 대구시민들은 구미공단 상류로의 취수원 이전을 강력히 요구해왔고 국책사업을 통해 안전하고도 항구적인 물 공급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요구를 줄기차게 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2006년 국토부에 취수원 이전을 건의했고 국토부는 2009년 낙동강수계 광역상수원 확보 기본구상을 만들었다.
국토부는 당시 낙동강과 구미 감천의 합류점 상류인 구미시 도개면 일선교 부근으로 취수원 이전을 계획했으나 구미권의 강력한 반발로 진전이 없었다. 새 취수원 확보는 대구뿐만 아니라 구미, 김천, 상주, 고령, 성주, 칠곡 등 7개 지역에 안전한 물을 공급하려는 광역상수도 사업이었다.
대구권 취수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미시의 동의와 협조가 절실하다. 이를 의식해 대구시는 시민단체, 경제계, 학계, 구미시 관계자 등 구미 지도층 인사를 대상으로 설득 작업을 펴고 있다. 또 상생 협력을 위한 '낙동강변 자전거길' 체험 행사를 갖는 등 구미시민들과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있다.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대구 달서병)은 최근 "6월 말에 시작된 낙동강의 녹조현상이 강 중상류 쪽까지 확산돼 대구시민의 식수를 위협하고 있다"며 시급한 취수원 이전을 다시 한번 요구했다.
조 의원은 주민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지만 정부는 취수원 이전 예정지 주민들의 반대 여론과 이전사업의 비용편익 분석만 내세워 사업에 소극적이다"며 "예비타당성조사 제외사업에 '맑은 물 공급사업'이 포함되도록 국가재정법 개정안을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이창환'박상전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