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위안부, 인류 가치에 반해" 李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입력 2012-08-15 11:06:30

과거사 넘어 인권 문제 日 책임있는 조치 촉구

이명박 대통령은 15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양국 차원을 넘어 전시(戰時) 여성인권문제로서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올바른 역사에 반(反)하는 행위"라며 "일본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67주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경축사를 통해 "일본은 우리의 가까운 이웃이자 체제적 가치를 공유하는 우방"이라고 전제하면서도 "그러나 우리는 일본과의 과거사에 얽힌 사슬이 한일 양국뿐만 아니라 동북아의 미래를 향한 발걸음을 지체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자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관계기사 3면

이어 이 대통령은 "우리도 더 큰 차원에서 이웃나라들과 국제사회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포용하고 협력해 나갈 것"이라면서 "그것이 세계중심국가의 일원으로 성장한 우리가 글로벌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발전시켜 가기 위해 갖추어야 할 성숙한 자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한 일본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하는 원론적인 수준에서 과거사 문제를 언급하기는 했지만 전날 일왕(日王)을 직접 거론하면서 사과를 요구한 수준에서는 크게 수위를 낮춘 셈이다. 이 대통령은 독도 문제에 대해서도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남북관계와 관련 이 대통령은 "남북관계가 지속적으로, 그리고 건강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남과 북이 정상적인 관계의 토대 위에 서야 한다"며 "북한도 현실을 직시하고 변화를 모색해야 할 상황이 되었고 우리는 그 변화를 주의 깊게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광복의 궁극적 완성은 평화통일에 있으며 통일 한국이야말로 '더 큰 대한민국'의 도약대"라며 "정부는 상생공영의 길을 여는 노력에 더해 통일 준비도 착실히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북핵문제에 대해 "한반도 비핵화는 남북은 물론 6자회담의 합의일 뿐만 아니라 안보리 결의에 따른 국제적 의무로서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촉구하고 "그렇게 되면 우리는 국제사회와 더불어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갈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또 글로벌 경제위기 상황과 관련 이 대통령은 "지금 세계는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대의 경제위기를 맞아 대격변의 시대에 진입했다"며 "더이상 남을 따라가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다. 우리가 앞장서서 누구도 가 본 적 없는 '코리안 루트'를 개척, 새로운 지평을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성장이 있어야 복지도 있고 일자리도 있다"고 지적하고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서도 R&D 투자를 5년간 68조원으로 확대한 것은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 광주, 대구경북의 과학기술 캠퍼스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과 역량 강화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 곳은 세계 최고의 과학자들이 모여 미지의 영역에 도전하는 열정과 창의의 마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