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존의 강, 희망의 강] <19>유럽(2)-독일 라인강

입력 2012-07-05 07:19:59

2km 강변 산책로 따라… 뒤셀도르프, 전설이 되다

독일 뒤셀도르프는 수변공간을 재창조해 아름다운 도시로 거듭났다. 라인 강변에서 바라본 미디어 하펜 전경.
독일 뒤셀도르프는 수변공간을 재창조해 아름다운 도시로 거듭났다. 라인 강변에서 바라본 미디어 하펜 전경.
미디어 하펜에는 독특하고 창의적인 건축물이 즐비하다.
2km에 이르는 라인 강변 산책로에 있는 공원과 잔디밭에는 항상 시민들로 북적인다.
미디어 하펜에는 독특하고 창의적인 건축물이 즐비하다.
2km에 이르는 라인 강변 산책로에 있는 공원과 잔디밭에는 항상 시민들로 북적인다.

한국의 도시는 물을 두려워했다. 홍수로 인한 범람 우려 때문에 강에서 멀리 떨어져 형성됐다. 반면 유럽은 수변과 인접한 공간을 중심으로 도시를 발달시켰다. 수변을 중심으로 도시가 성장하고 중심 시가지가 형성됐다. 독일 뒤셀도르프는 수변공간을 재창조해 아름다운 도시로 거듭난 대표적인 도시다.

◆수변 중심으로 도심 재창조

독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명한 라인 강은 길이가 1천320㎞에 이르는 긴 강이다. 라인 강은 오랜 옛날부터 유럽의 중요한 동맥으로 이용돼 왔지만 수많은 분쟁에 휩싸이기도 했다. 지금은 독일을 대표하는 관광명소이자 교통 요충지로 확고히 자리를 잡았다. 라인 강 물줄기는 알프스에서 시작돼 스위스와 오스트리아를 비롯한 여러 나라를 지나지만 독일을 흐르는 부분이 가장 길어서 일반적으로 '독일의 상징'처럼 인식되고 있다.

뒤셀도르프는 42㎞에 이르는 라인 강 좌우에 걸쳐 펼쳐진 도시이다.

라인 강을 따라 미디어 하펜 단지에는 세계적 패션회사들이 몰려 있다. 라인 강 중'하류를 끼고 있는 이곳은 한때 쇠락의 길을 걷다 오늘날 유럽 최고의 관광 코스이자 독일 시민들이 가장 살고 싶어하는 곳으로 거듭났다.

뒤셀도르프가 방송, 광고 등 창조적 도시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뒤셀도르프 항구를 무역항에서 미디어 하펜으로 재창조했기 때문이다.

뒤셀도르프가 국제비즈니스와 금융의 메카이자 패션과 무역박람회의 도시로 널리 알려진 것은 미디어 하펜이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곳엔 프랭크 게리 등 세계적인 건축가가 지은 예술성 높은 건축물들이 즐비하고 굴지의 방송사, 건축설계사, 레스토랑, 극장, 패션 상점들이 입주해 경제성장은 물론 시민들의 문화생활 변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미디어 하펜 프로젝트' 덕분이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대부분 파괴된 항구는 루르 지역의 공업이 발달하면서 1960년대까지 재건됐다. 1950년대 라인 강의 기적으로 일컫는 독일 경제 부흥과 함께 뒤셀도르프 경제도 발전해 1960년대 초에 절정을 이뤘다. 하지만 1970년대에 접어들어 뒤셀도르프와 루르 지역의 산업 생산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서비스업도 약화됨에 따라 더 이상 활기를 띠지 못했다.

이에 따라 시는 1974년 항구를 일부 축소하고 미래지향적으로 재생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추진했다. 1단계로 방송과 광고에 걸맞은 도시 인프라를 구축하고, 2단계로 방송 시설 및 소규모 사무실 등을 유치했다. 3, 4단계는 1990년 초에 계획해 추진하고 있다.

미디어 하펜은 뒤셀도르프에서 가장 좋은 입지의 업무문화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친수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물을 지었다.

미디어 하펜은 709개의 기업과 8천250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약 16억유로의 투자유치 효과를 거뒀다. 수변공간을 전략적인 거점으로 조성했으며, 도시경쟁력 확보의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독일의 주요 방송사와 스튜디오 등이 들어서는 등 미디어 기업의 입주비율은 전체의 15%인 107개를 차지하고 있다. 또 패션 및 정보'커뮤니케이션 등 고부가가치 기업체가 많이 위치해 있어 뒤셀도르프의 도시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디어 하펜은 709개의 기업들이 입주함에 따라 새로운 주거지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게 됐고, 현재는 주거지 확보를 위해 2단계 사업지구에 대한 계획 및 개발에 착수했다. 고부가가치 기업과 그에 따른 주거 수요에 따라 미디어 하펜 지역은 뒤셀도르프에서도 높은 지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저명한 건축물이 축조되고 건축사무소가 입주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저명한 건축가들이 건축물을 답사하는 장소로 관광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임대료가 비싸지만 비어 있는 사무실은 전체의 4% 미만이다.

◆하천과 도시를 연결

미디어 하펜에 인접한 북측의 라인 강 제방도로는 도시와 수변의 단절요소로 작용했다. 수변과 인접한 공간에 도로가 들어섬으로써 수변공간의 접근성에 걸림돌이 된 것이다. 도로는 남북으로 놓여 있어 라인 강과 접근성을 더욱 단절시켰다.

뒤셀도르프는 강변을 끼고 발달한 도시답게 도시 재건에 수변 공간 조성을 놓치지 않았다. 라인 강을 따라 2㎞ 길이로 건설된 라인 강변 터널은 도시 역사상 최대의 교통사업이다. 하천과 도시를 새롭게 연결해 도시를 재탄생시킨 것이다.

라인 강변 터널 건설을 처음 계획한 것은 1976년이다. 이후 10여 년간 논의를 거쳐 1987년 계획을 확정하고 3년간의 설계와 법적 절차 끝에 1990년 착공했다. 1995년에 터널을 완공, 2㎞의 터널 공사에 소요된 전체기간은 20년이다. 이 기간 중 시민의 합의는 물론 가장 최선의 건축과 시공을 통해 세계적 명물로 자리 잡았다.

터널이 개통되면서 라인 강변은 자동차 대신 산책을 나온 시민과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를 타는 사람들로 가득 찼다. 라인 강을 끼고 이어지는 산책로와 즐비하게 늘어선 플라타너스, 벤치, 계단 등을 조성해 라인 강을 시민의 품으로 돌려놓은 것이다. 산책로 주변 공원과 잔디밭에는 항상 시민들로 북적인다. 라인 강변 산책로는 성공적인 강변 개조 사례로 독일과 세계의 건축상을 여러 번 수상하기도 했다.

터널 위로 만들어진 강변 산책로를 따라 노천 식당과 카페들이 늘어서 있다. 강변 터널 위에 만들어진 2㎞의 강변 산책로는 주변에 공원과 녹지가 조성돼 있어 뒤셀도르프를 '가장 걷기 좋은 도시'의 반열에 올려놓은 일등공신 중의 하나이다.

라인 강을 바라보며 산책로를 따라 걸으면 미디어 하펜에 이른다. 원래는 석탄 배가 드나들던 항구로 석탄을 저장해 두던 석탄창고가 있던 곳이었다.

도르트문트에서 온 관광객 귄터 뤼발트 씨는 "라인 강은 수많은 전설과 아름다운 풍경을 갖고 있어 자랑스럽다"면서 "뒤셀도르프에 있는 라인 강변은 산책하기 좋고 아름답기 때문에 자주 찾는다"고 말했다.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글'사진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