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전역 주차전쟁…전체 차량 수용 84% 불과 "시민운동 차원해법 찾
대구시내 전역이 주차난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도심이나 유흥가 인근에서만 벌어지던 주차난이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으로 확대되면서 주차전쟁이 일상화되고 있다. 차량은 급격하게 늘고 있지만 주차 면수는 제자리걸음인 탓이다.
4일 대구시와 차량등록사업소에 따르면 지난해 등록된 대구시내 차량은 98만5천349대로 2001년 73만1천776대에 비해 34.6% 증가했다. 대구 전체 가구 수가 94만770가구인 것을 감안하면 한 집에 최소 1대 이상 차를 갖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주차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 2010년 12월 현재 대구시내 활용 가능한 주차 면수는 79만7천여 면으로 전체 차량의 84%에 불과하다. 이는 서울(114.1%), 울산(101.8%), 부산(96.9%), 광주(91.8%), 인천(89.7%)에 비해 크게 부족한 수준이다.
이 때문에 중구와 남구, 북구 등이 시행하고 있는 '거주자 우선 주차 공간'에도 무단으로 차를 대는 '얌체 주차족'이 적지 않다. 공동주택은 가구별로 2, 3대 차량을 소유하면서 주변 도로에 불법 주차하는 차량도 많다.
시민 이모(28'대구 동구 신암동) 씨는 "아파트 주차장에 이중 주차를 했다가 새벽 4시에 출근하는 차량 주인이 전화를 걸어 부랴부랴 차량을 빼 준 적이 있다. 아파트도 주차전쟁의 예외 지역이 아니다"며 "아파트 주차장도 주차공간이 부족해 도로에 자주 주차한다"고 말했다.
북구청 교통과 관계자는 "얼마 전 도로변에 불법 주차를 했다가 단속에 걸린 한 남성이 '아파트에 주차할 곳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불법 주차를 했는데 과태료를 내야 하느냐'고 항의를 했다"며 "주차 단속 관련 항의 전화가 하루 평균 50통 이상 걸려온다"고 말했다.
대구시와 각 구청도 주차난 때문에 고심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주차장 부지를 확보할 때 1면 당 최소 5천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들어 공영주차장을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예전에는 야간이나 주말에 운동장을 주차 용도로 개방하는 학교가 많았지만 요즘에는 운동장에 인조 잔디를 깐 곳이 늘어 임시 주차장을 찾기도 힘들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영남대 윤대식 교수(도시공학과)는 "근본적으로는 행정기관이 주차면을 늘려야 하겠지만 거주자 우선 주차제를 확대하고, 주택가 주차난은 차고지 증명제를 엄격히 적용하는 등 범시민운동 차원에서도 주차난에 대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황수영기자 swimmi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