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고아읍 괴평리 일원 낙동강 둔치 활용 방안을 놓고 구미시와 시의회가 갈등하면서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고 한다. 구미시는 4대강 사업으로 조성된 낙동강 둔치(66만㎡)에 수상 레저 시설을 지어 명품 수변 도시로 개발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해 말 용역비 12억 원을 편성해 시의회에 상정했지만 전액 삭감됐다. 최근 금액을 줄여 추경에 재상정했으나 시의회는 이마저도 삭감하겠다는 입장이다.
시와 시의회의 대립으로 계속 상황이 꼬이자 구미경실련'상공회의소 등 지역 시민단체'기관들이 둔치 4.5㎞를 수변 경관림으로 꾸미고 하중도에는 청보리'메밀이 자라는 전국 최대의 평지 숲을 만들어 시민 축제공원으로 조성하자는 대안을 제시했다. 현재 시민 1만여 명이 청원운동에 참여해 구미시의회에 전달한 상태다.
이 같은 논란에는 울산 태화강 생태공원이 좋은 본보기가 될 듯싶다. 태화강과 낙동강 둔치는 규모나 주변 인구 등 여러 면에서 차이는 있다. 하지만 많은 시민들이 즐겨 찾는 수변공원으로 자리매김되어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태화강 생태공원과 10리 대숲길은 울산 시민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진 명소로 탈바꿈하면서 도시 경쟁력 강화와 이미지 제고에도 한몫했다.
낙동강 둔치가 구미시의 계획처럼 소수가 이용하는 골프장이나 수상 비행장 등 수변 레저 시설이 중심이 되어서는 안 된다. 정부가 '수상 비행장 10대 거점도시'로 선정했다는 이유로 수상 레저 관광도시라는 명분에 얽매이는 것은 옳지 않다. 보다 많은 시민들이 쉽게 접근해 즐길 수 있는 열린 공간이 되어야 하고 야외공연장'수영장'오토캠핑장 등 레저 시설을 일부 보완하는 게 타당하다. 구미시와 구미시의회는 42만 시민의 바람과 요구를 귀담아듣고 원만하게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