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오래된 양조장이 영양에 있었어?

입력 2012-06-25 09:42:37

누룩을 담을 때 사용하던 나무 국함들이 양조장 벽 한곳에 쌓여 있다. 2. 제조실에는 누룩과 고두밥을 섞는 시설들이 옛날 그대로 있다. 엄재진기자
누룩을 담을 때 사용하던 나무 국함들이 양조장 벽 한곳에 쌓여 있다. 2. 제조실에는 누룩과 고두밥을 섞는 시설들이 옛날 그대로 있다. 엄재진기자

웰빙바람과 함께 막걸리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전국 막걸리 양조장 가운데 가장 오래된 '영양 양조장'이 눈길을 모으고 있다.

영양군 영양읍내 군청과 읍사무소 사이에 자리한 이 양조장은 1920년대 초 지어진 건물로, 일제강점기 때인 1925년쯤부터 이 양조장에서 생산된 막걸리가 판매돼 87년간 이어지고 있다.

이 양조장 건물은 발효실, 냉각장, 원료저장고 등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건물 기둥은 압록강 적송으로 나무못만을 사용해 지었으며, 지붕도 트러스 구조로 지진에도 견딜 수 있다는 것. 누룩을 띄우는 건물은 벽과 천장이 두 겹에다 폭이 1m 정도이며, 벽 사이에 왕겨를 채워 건물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했다.

이곳에는 누룩을 담을 때 사용하던 나무 국함, 미닫이문, 양조장 현관문 위에 적힌 '전화 6'이라는 나무 푯말, 막걸리를 배달하거나 사러올 때 대기했던 자전거 주차장 등 옛 모습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현재 권시복(66) 씨 등 2명이 운영하고 있는데, 전통 막걸리 맛인 텁텁함을 내는 '농부 막걸리'(농주)를 생산하고 있다. 대부분의 막걸리가 인공 감미료인 '아스파탐'을 섞고 발효기간을 짧게 해 단맛과 톡 쏘는 탄산 느낌을 내고 있지만, 영양양조장의 막걸리는 옛날 맛 그대로를 내고 있다고 권 씨는 설명했다.

담배와 고추의 고장, 영양에서는 예부터 농번기에 일하는 사람이 많아 일꾼들이 몰리는 봄부터 가을까지 막걸리 판매량이 절정이었다. 1960, 70년대를 지나면서 인구가 크게 줄면서 많았던 양조장이 하나 둘 사라지면서 현재 영양에는 양조장이 영양양조장 1곳에 불과하다. 영양군은 이 양조장을 근현대문화재로 지정해 영구보존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권 씨는 "일제강점기 때 영양에 전화가 10대뿐이었는데, 그중에서 이 양조장에 여섯 번째 전화기가 설치됐기 때문에 '전화 6'이라는 푯말이 붙었다"며 "공공기관 외에 민간에서 전화번호를 받은 경우는 이 양조장이 첫 번째로, 그만큼 영양 경제에서 양조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영양'엄재진기자 2000jin@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