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투표 민심 왜곡" vs "2030세대 의사 표출"

입력 2012-06-12 10:46:54

민주당도 룰의 전쟁

'모발심'(모바일 투표로 나타난 민심) 논란이 민주통합당 대선 룰 전쟁의 신호탄이 되고 있다. 새누리당의 경우 오픈프라이머리가 경선 규칙을 둘러싼 신경전의 원인이지만 민주당은 당대표 선출 과정에서 제기된 모바일 선거 논란이 대선 후보 경선으로 옮아붙고 있는 것이다. 대선 후보 결정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모바일 선거인단 구성 및 반영 비율 문제를 둘러싼 힘겨루기가 시작될 조짐이다.

모바일 선거인단 구성이 논란의 핵심으로 부각한 것은 이해찬 대표의 역전승을 일궈냈던 모바일 투표 결과가 '당심'(당 대의원들의 생각)은 물론 '민심'(일반국민의 생각)과의 괴리가 상당했다는 해석 때문이다. 이런 식이라면 대선 후보 경선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투표의 가중치 적용 조정 등 경선 룰 세팅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모발심' 왜곡 논란은 대선경선관리위원회 구성 등을 둘러싼 친노 진영과 비노 진영의 신경전으로 비화하는 양상이다. 비노 측 김한길 최고위원은 전당대회 이후 처음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당대표 경선 과정을 통해 경선의 공정성을 담보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것을 실감했다. 대선 후보 경선에서 당심과 민심을 벗어난 결과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매우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손학규 상임고문도 "(이번 당대표 선출 과정에서 보듯) 조직의 힘이 아니라 민심을 충분히 담을 수 있는 방향으로 선거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반박 의견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모바일 투표가 왜 논란의 핵심이 되는지 모르겠다"며 "이번 당대표 경선에서도 분명한 정체성과 개혁적 변화를 지향하는 2030세대의 자발적인 의사가 표출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부에서는 모바일 선거인단 반영비율을 낮출 게 아니라 선거인단 규모를 키우는 방식으로 해결하면 된다는 견해도 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