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명목소득은 2만달러
우리나라 국민의 구매력을 고려한 실제 생활수준이 선진국 수준에 근접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명목소득은 2만달러, 생활수준은 3만달러-실질구매력으로 본 한국의 생활수준'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1인당 명목소득은 2만달러 정도지만 의식주에 드는 비용이 낮아 구매력을 고려한 실제 생활수준은 3만달러대로 선진국 수준에 가까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은 OECD가 지난해 발표한 2008년 기준 구매력평가 부문별 주요 생필품 가격을 비교해 한국의 '의'식'주'복지'문화'의 소비가격 수준을 평가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의류 및 신발 ▷주택 및 수도, 전기 ▷교통비 및 통신비 등이 OECD의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의류 및 신발 가격은 구매력평가 기준으로 OECD 평균보다 10% 낮았고 주택, 수도, 전기, 연료비 등은 47% 쌌다. 운송 서비스와 운송장비 및 유지 관리비 등을 포함한 교통비도 30% 낮게 나타났으며 통신비는 41%, 오락 및 문화 관련 비용은 24% 저렴했다. 특히 의료비는 OECD 평균보다 48% 낮아 의료비 부담도 한국이 선진국에 비해 적다.
현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2011년 기준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2만2천778달러로 세계 34위로 평가돼 선진국과 격차를 보이고 있지만 구매력평가를 적용할 경우 GDP는 3만1천714달러(25위)로 뛴다"며 "이는 일본과 영국 등 선진국 수준에 근접한 수치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다만 서민 경제와 밀접한 필수 식료품(고기, 야채 등)의 가격은 구매력평가기준으로 한국이 선진국에 비해 높아 식료품에 대한 가격 안정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