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상임위 증설"…이한구 "절대로 안돼"

입력 2012-05-17 10:41:36

19대 국회 원구성 협상, 출발부터 난항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가 16일 여의도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한구 원내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가 16일 여의도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한구 원내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19대 국회가 문을 열기도 전에 여의도 정가가 시끄럽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이 19대 국회 원 구성 논의에 본격 나섰지만 팽팽한 '기 싸움'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89일 만에 원구성 협상을 타결한 지난 18대 국회보다 여야 간 의석 수 차이가 나지 않아 원구성이 더 늦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당장 국회 상임위 증설 문제를 두고 여야 원내대표들이 이미 한 차례 충돌했다. 민주통합당 박지원 원내대표가 14일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와 정무위원회를 각각 2개의 상임위로 분리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 발단이 됐다.

이에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는 16일 당 최고위원회에서 "현재로서는 상임위 증설 문제를 전혀 고려할 수 없다"고 단호하게 못박았다. 국회의원 숫자를 줄이라는 등의 국민 여론이 팽배한 마당에 혈세를 쏟아부어야 할 상임위 증설 문제는 일고의 가치도 없다는 것이다.

특히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를 놓고 여야가 밀고당기기의 지루한 줄다리기를 할 수밖에 없어 난항을 겪을 전망이다.

18대 국회에선 의석 수에 따라 18개 상임위'상설특위 중 새누리당 11개, 민주당 6개, 자유선진당이 1개를 각각 차지했으나 19대 국회의 경우 야당 의석 수가 많아진 만큼 상임위원장 배분 비율도 바뀔 가능성이 커졌다. 민주당 내에선 2개 상임위원장 자리를 더 가져와 새누리당 10개, 민주당 8개의 비율로 맞추는 게 적절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문제는 핵심 상임위원장 자리를 어떤 당이 차지하느냐 여부다. 여당 한 당직자는 "언론사 파업 문제가 걸려 있는 문방위와 저축은행 사태가 논의될 정무위, 대통령 측근비리 수사와 검찰 개혁이 다뤄질 법사위 등이 최대 격전지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회 한 관계자는 "특히 이번 19대 국회는 12월 대선을 앞두고 여야의 대선 후보들의 공방전 주 무대가 된다는 점에서 원구성 협상은 어느 때보다 치열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