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차체 협력이 시간단축 관건
대구도시철도 1호선의 경산 하양 연장을 위해서는 대구시와 경상북도, 경산시 등 지자체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를 대상으로 도시철도 1호선 연장의 당위성을 설득하려면 각 지자체의 이해관계를 떠나 대구경북의 상생발전이라는 틀에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
대구시와 경북도는 '멀리 보고 함께 가는 대구경북'을 만들기 위해 국책사업 및 협력사업 9건을 공동 추진하기로 한 바 있는데 오는 10월 연장 개통하는 대구도시철도 2호선 사월역∼경산 영남대역 구간(3.3㎞)은 그 결실 중 하나로 꼽힌다. 2호선 경산 연장도 우여곡절을 겪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논의됐으나 행정구역이 다르고 도시철도 건설에 따른 부채 증가와 경제성 문제 등으로 난관에 부닥쳤다. 그러다 2005년 대구시, 경북도, 경산시가 건설협약을 체결하면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고 착공할 수 있었다. 당시에도 지역 정치권과 지자체, 지역민, 대학들이 힘을 모아 성사시켰다.
총 사업비 2천817억원 중 국비를 60%, 지방비를 40%로 정하면서 1천127억원의 지방비를 대구시가 20%, 경북도와 경산시가 각각 10%씩 분담했다.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사업도 2호선 경산 연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 상생협력이 동력으로 요구된다.
1호선의 경산 하양 연장은 예상 사업비가 2천278억원으로 2호선보다 적어 각 지자체의 부담은 상대적으로 적다.
경산시 한정근 건설도시국장은 "대구 동구 안심이 예전에는 경산군 지역으로 같은 생활권이었다"며 "대구 신서혁신도시의 대중 교통망 확충, 경산 하양지역의 대규모 개발사업 촉진, 12만여 명의 대학생과 경산산업단지 근로자들의 교통 편의제공 등을 위해 대구시도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안용모 대구도시철도건설본부장은 "1호선 안심~하양 연장 사업은 총 구간 8.77㎞ 중 1.89㎞는 대구, 6.88㎞는 경산에 걸쳐 있는 광역철도이므로 2호선 경산연장보다 더 많은 70%가량의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며 "지자체 간 협조를 통해 1차 관문인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전략을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 정치권도 힘을 보태야 한다. 새누리당의 최경환 의원(경산청도), 유승민 의원(대구동을), 유성걸 의원(대구동갑) 등이 국토부의 예비타당성조사대상사업 선정에서부터 기획재정부 조사대상사업으로 선정되기까지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경환 의원은 "국토부의 예비타당성조사대상사업에 경기도 4개 지역의 도시철도 연장과 함께 대구도시철도 하양 연장이 접수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2009년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보류된 이후 경산지식산업지구와 대구연구개발특구 개발, 경산4산업단지조성 계획 등 여건이 크게 변화함에 따라 좋은 결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산권 5개 대학 총장을 중심으로 한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진량 연장 및 순환선 구축을 위한 추진위원회'의 대표위원장인 소병욱 대구가톨릭대 총장은 "도시철도 1호선의 하양 연장에 대한 대구와 경산 지역민들, 특히 관련 자자체장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성원을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김진만기자 factk@msnet.co.kr
최병고기자 c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