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시티 거액로비 수사에 내곡동 사저매입도 조사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등 이명박 정부의 핵심 실세들이 동시에 검찰조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검찰은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부지 매입사건과 관련, 이 대통령의 아들 시형 씨에 대한 조사도 벌였다.
양재동 복합유통단지 인허가사업(파이시티)의 브로커로 알려져 있는 이동률 씨의 비망록에 이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의 이름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는 등 검찰수사는 이명박 정권의 핵심인사들을 정면으로 향하고 있다.
이 대통령의 '정치적 멘토'로 불린 최 전 위원장이 이날 소환조사에 이어 사법처리 수순을 밟고 있다는 사실은 검찰수사의 칼끝이 사실상 이 정권을 겨냥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정치적 파장과 후폭풍이 엄청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전 부의장도 다시 검찰의 수사선상에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는 등 이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들 모두가 검찰수사를 받고 있다. 울산지검은 25일 수뢰혐의로 구속기소된 이 전 부의장의 전 보좌관 박배수 씨가 은행 대출 청탁 대가로 수억원을 챙긴 혐의가 추가로 포착됐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의 아들 시형 씨도 내곡동 사저 부지 매입 의혹 사건의 피고발인 자격으로 검찰로부터 서면조사를 받았다. 시형 씨는 내곡동 사저를 청와대 경호처와 공동으로 구입했는데 민주당 등이 실제보다 싼값에 부지를 매입하고 청와대가 추가 부담한 의혹이 있다고 고발한 데 따른 것이다.
검찰은 서면조사가 미진하다고 판단할 경우, 소환조사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시형 씨도 직접 검찰에 불려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왕차관'으로 불렸던 박 전 차관도 이날 대검과 민간인 사찰 특검팀으로부터 동시에 자택과 대구의 선거사무실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당하는 등 전방위 수사를 받았다. 검찰 주변에서는 최 전 위원장과 더불어 사법처리 수순에 접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흘러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들이 동시에 비리 의혹에 무너지고 있다. 여기에서 멈추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도 파다하다. 더 많은 사람들이 수사 대상에 오를 것이라는 이야기다.
이처럼 이 대통령과 청와대는 임기 5년차에 접어들면서 '권불5년'(權不5年)을 실감하고 있다. 청와대는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새누리당까지 나서서 검찰에 대해 성역 없는 단호한 수사를 촉구하고 나서자 입을 닫았다. 임기 5년차에 접어든 이 대통령으로서는 임기 마지막 해인 올해 성공적인 마무리와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서민생활 안정과 일자리 창출 등 '민생'에 집중하고 있지만 속수무책으로 '국정누수상황'(레임덕)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이와 관련, 최 전 위원장은 "제가 아니라도 대통령께서 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있는데 짐이 또 하나 얹혔다고 생각하니 몸둘 바를 모르겠다"며 정치적 파장을 우려하기도 했다.
특히 그가 검찰 소환 전에 일부 언론을 통해 파이시티 측으로부터 자금 수수 사실을 시인하면서 "(대선) 여론조사에 사용했다"고 밝힌 부분에 검찰은 물론 정치권도 주목하고 있다. 이 대통령의 대선자금을 수사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 것이다. 민주통합당 등 야권에서는 즉각 대선자금 수사를 강하게 촉구하고 나섰다.
대선자금이라는 '판도라의 상자'가 열리게 될지 여부에도 정치권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