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고지도 동해는 '한국해'…일본서 사본 발견

입력 2012-04-16 08:39:22

김문길 한일문화연구소장이 공개한 세계해도 사본. 동해가
김문길 한일문화연구소장이 공개한 세계해도 사본. 동해가 '한국해'(붉은 원'Mare di Corai)로 표기되어 있다. (김문길 교수 제공 )

현재의 동해 해역을 '한국해'로 표기한 17세기 중반 고지도의 사본이 일본에서 발견됐다.

김문길(부산외국어대 명예교수) 한일문화연구소장이 15일 이번에 발견된 고지도는 세계 최초의 해도 '바다의 신비' 제작자인 영국 귀족 출신 로버트 더들리가 1646년에 그린 것으로, 동해가 한국해로 표기됐다고 밝혔다.

김 소장은 23일 동해 국제 명칭을 결정할 모나코 국제수로기구(IHO) 총회를 앞둔 가운데 일본에서 발견된 이 고지도가 일본해 주장이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했다.

김 소장은 "로버트 더들리가 그린 이 지도에는 일본이 '일본해'라고 주장하는 바다가 'Mare di Corai', 즉 '한국해'로 나와 있다"며 "일본 가고시마 남단 해역은 '일본해'로 표기돼 있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17세기 조선에 비해 개방적이었던 일본인들로부터 해도 작성에 필요한 정보가 나왔을 것"이라며 "이 지도에 나타난 한국해와 일본해라는 명칭은 당시 일본인들의 인식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또 "지금까지 19세기, 18세기 고지도를 발견한 바 있지만 17세기 지도는 처음 확인한 것이다"며 "방위 개념에 따른 '동해' 명칭보다는 이 지도대로 '한국해'로 하는 것이 더 타당하고 설득력 있다"고 했다.

최근 김 소장이 발견한 이 17세기 고지도 사본과 관련해 SNS 및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통해 IHO 등에 동해 표기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울릉'허영국기자 huhy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