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성적표 누가 웃을까…박근혜·문재인·손학규 등 대선주자 명암 갈려

입력 2012-04-11 10:50:32

4'11 총선 결과에 따라 대선 주자들의 정치적 운명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우선 여당이 승리하면 두말할 것도 없이 새누리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위상 제고가 확실해 보인다. 이명박 정권에 대한 국민적 불신을 당명 개정까지 하면서 '박근혜 정당'으로 개편했고, 이를 총선 승리로 연결시킨다면 '박풍'(박근혜 바람)이 '열풍'으로 확산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전언이다.

하지만 박 위원장은 이번 총선에서 몇 가지 숙제를 안고 있다. 그 첫 번째가 바로 부산'울산'경남에서 불고 있는 친노(친노무현) 바람을 저지해야 하는 것. 이른바 '낙동강 벨트'에서 승리를 거둬야 대선에서 텃밭인 영남권을 사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친노 아이콘인 문재인(부산 사상) 민주통합당 후보와 노무현 전 대통령 생가인 봉하마을에 출격한 김태호(경남 김해) 새누리당 후보의 당락이 주목을 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영남권의 지지세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과 함께 호남 공략도 풀어야 할 숙제이다. 야권은 이미 '친노'란 강력한 무기를 장착한 채 영남 공략을 일정 부분 달성한 상태이기 때문에 다음 대선에서 영'호남 지역주의 대결 구도가 재연될 경우 승리를 장담할 수 없는 상태가 돼 버렸다.

따라서 호남의 심장부인 광주에 뛰어든 이정현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되거나 의미 있는 선전을 할 경우 박 위원장의 호남 위상은 크게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 전북 전주에 출마한 정운천(이명박 정부 농수산식품부 장관 출신)의 당선도 박 위원장에겐 가뭄에 단비 같아 보인다.

야권에선 대선 주자의 독식 구조가 이뤄지지 않아 선거 결과에 따라 많은 변수가 있을 수 있다. 승리를 할 경우 문재인 전 노무현 대통령 비서실장의 입지 강화가 예상된다. 여권에서 '박근혜 구원투수론'이 있었다면 야권에선 노풍(노무현 바람)이 이번 선거의 핵심 키워드였다. 따라서 노무현 정권의 적자로 여겨지는 문 전 실장의 위상은 선거 결과와 직결되는 사안이다. 특히 그의 출마 지역구가 민주당 취약지인 영남인 점을 감안하면, 그의 국회 입성은 대선 주자로서 최종 검증이라는 시각도 있다.

여기에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도 대선 후보로 가속도를 내고 있어 주목된다. '당선되더라도 대선 때문에 곧 사퇴해야 한다'며 총선에 나서지 않을 정도로 그의 정치 일정은 대선에 맞춰져 있다. 수도권 지원 유세에 주력했기 때문에 수도권 성적이 그의 인기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됐다.

문 전 실장과 함께 적지나 취약지에 뛰어든 인사들의 승패는 곧바로 이들의 대선 성공 가능성과 직결돼 보인다. 서울 강남에 출마한 정동영, 세종시에 출격한 이해찬 민주당 후보 등의 국회 입성은 곧바로 대선 열차에 올라타는 것을 의미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