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 당할 수만은 없다.'
대구 수입차 전시장의 메카로 떠오른 동대구로 주변에 국내차 매장들도 속속 들어서며 일전을 벼르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황금네거리를 중심으로 들어선 고층 아파트 입주자들을 대상으로 수입차와 전면전에 들어간다는 작전이다. 특히 이 지역은 구매력이 충분한 소비자들이 많아 '세컨드카' 시장 점유율도 높이겠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국내차업계 중 범어네거리~두산오거리 구간 동대구로를 따라 입점해 있는 곳은 지난해까지 르노삼성자동차가 유일했다. 수입차 전시장들이 최근 몇 년 사이 동대구로로 집결한 것에 비해 대처가 지지부진했다. 이유는 비싼 건물 임차료 등 부대비용 때문이었다. 특히 황금네거리를 중심으로 한 일부 지역의 경우 보증금 10억원에 월 임차료가 1천만원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지역에 비해 최소 30% 이상 고정비 부담이 크다. 웬만한 매출로는 유지가 힘든 여건이다. 하지만 이전 효과에 대해서는 만족스럽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11월 두산오거리 한 모퉁이에 있던 지산지점을 눈에 잘 띄는 TBC 맞은 편 대로변으로 옮긴 현대자동차는 '맞불 작전'이 성공적이라는 평가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이전하기 전과 후를 비교했을 때 확연히 실적이 낫다"며 "지산'범물'황금'두산동 등 인근의 중산층들의 왕래가 잦아졌다"고 말했다.
다음 달 중순에는 기아자동차 황금지점이 수성구 들안길 초입에 들어설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자동차 황금지점은 상동전화국과 현대자동차 중동대리점 사이 지상 2층 규모로 들어선다. 연면적도 700㎡(240평가량)로 예정돼 있어 대형 전시장임을 예고했다. 특히 이곳은 지난해 말 문을 연 닛산 매장과 볼보, 혼다 매장을 코앞에 두고 있다. 말 그대로 전면전인 셈이다.
이로써 국내차 매장은 르노삼성자동차,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등 황금네거리 반경 1㎞ 내에 4곳의 매장이 자리잡게 된다. 하지만 수입차 전시장이 메르세데스-벤츠를 제외한 14곳이 들어차 있고 상반기 중 도요타의 입성까지 더하면 더욱 치열한 경쟁을 벌어야 한다.
이에 대해 기아자동차 관계자는 "임차료에 대한 부담이 커 황금네거리와는 다소 거리가 떨어져 있지만 수입차 전시장과 대적할 수만 있으면 된다"며 "새로 출시될 K9과 대구에서 효자 종목으로 꼽히는 K5, 모닝까지 종류별로 고객들을 끌어모으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