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비상급수시설 관리 더욱 철저히 하라

입력 2012-03-24 08:00:00

대구시내 곳곳에 마련된 비상급수시설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 비상급수시설은 수돗물 공급이 안 되는 비상 상황이거나 주민이 필요로 할 경우 언제든 쓸 수 있도록 마련한 보조 시설이다. 그런데 일부 시설의 경우 관리 소홀로 주민들로부터 외면받고 있고 심지어 아무런 표식조차 없어 주민들이 비상급수시설인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것이다.

시내 비상급수시설은 음용수 61개소와 생활용수 152개소 등 모두 213곳이 지정돼 있다. 이 가운데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비상급수시설은 음용수 42곳, 생활용수 51곳이다. 나머지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매일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상당수 비상급수시설에 시설 규모와 내용, 관리 책임자 등을 알리는 안내문조차 없고 수질 검사 결과 공지도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한다. 관리를 맡은 위탁업체들이 규정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는 등 시설 관리가 허술하기 짝이 없는데도 대구시가 관리 감독을 소홀히 하면서 거의 방치돼 있다는 것이다.

생활용수를 제공하는 비상급수시설 관리는 더 엉망이다. 일부 비상급수시설은 펌프나 밸브 고장으로 아예 무용지물이다. 규정상 음용수는 분기마다, 생활용수는 3년에 한 번씩 수질을 검사해 결과를 공지하거나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관리 규정이 이렇게 느슨한데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은 대구시 감독이 그만큼 부실하다는 소리다.

비상급수는 유사시 주민 생활은 물론 건강과 직결되는 사안이다. 이는 급수 시설에 대한 철저한 수질 관리와 위생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만에 하나 사회 불만자나 불순분자가 음용수를 오염시키거나 해코지를 할 경우 주민들이 큰 화를 입는 등 사회 안보 문제로 비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음용수의 경우 현행 분기별로 한 번씩 실시하는 수질 검사 횟수를 수시 검사로 변경하는 등 규정을 고쳐야 한다. 주민들이 일상적으로 마시고 쓰는 물을 3개월이나 3년에 한 번씩 검사한다는 게 과연 적정한 것인지 재고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대구시는 수질 검사 횟수를 늘리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검사 결과를 정확하게 게시해 주민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강화해야 한다. 비상급수시설에 대한 보안 개념조차 없거나 수박 겉 핥기식의 수질 관리 등 안이한 행정이 공공의 이익과 시민 건강을 해치는 최대의 위협 요소임을 명심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