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업원과 임신부 간 폭행 사건인 '채선당' 사건과 대형서점 내 음식점에서 발생한 어린이 화상 사건인 '국물녀' 사건은 SNS의 명암을 극명하게 보여준 사례다. 사실관계도 확인되지 않은 사안을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통해 무차별적으로 폭로하고 매도하면서 심각한 부작용과 폐해를 낳고 있어서다. 호기심 차원에서 SNS를 통해 확산시킨 이런 이슈들이 단순히 화제 공유라는 선에서 그치지 않는다는 점을 재차 확인시켜주고 있는 것이다.
'채선당' 사건의 경우 결과적으로 종업원의 인권이 침해되고 영업점은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인터넷 조회 건수가 무려 1천150만 회에 이를 만큼 큰 관심을 불러일으킨 '국물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마녀사냥식의 언어폭력과 일방적인 매도가 뒤따르면서 또 다른 피해자를 낳고 극심한 사회적 불신을 초래한 것이다.
SNS의 특성이 정확한 정보 전달보다는 일차적으로 이슈의 확산에 있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사실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사안을 무차별적으로 전파하는 것은 또 다른 오해와 편견을 낳을 수밖에 없다. 정보통신의 발달로 정보나 루머의 대량 확산과 전달에 따른 파급력이 커진 만큼 폐해와 부작용 또한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발생 자체만을 중시한 나머지 가치판단을 도외시하는 이 같은 그릇된 풍조는 건강한 소통을 가로막고 사회를 병들게 한다는 점에서 지양해야 할 부분이다.
SNS 이용자들은 더 이상 이슈의 전파에 현혹될 것이 아니라 이슈가 과연 사실에 부합하는지, 신뢰할 만한 정보인지 뒤집어 생각해봐야 한다. 이슈 전파에 앞서 정보의 진위 여부나 부작용을 먼저 염두에 둔다면 이런 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본다. 사실관계를 왜곡해 여론을 한쪽으로 몰아가고는 아니면 그만이라는 식의 무책임한 태도는 더 이상 없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