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폐합 거론마다 1순위, 인구 늘리기 최대 이슈
전국 최소 선거구로 차기 총선에서 선거구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에 빠진 영천시가 인구 늘리기 방안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19대 총선에 나선 후보들도 저마다 인구증가 대책을 내놓고 서로 치적을 내세우거나 실효성에 비판을 제기하는 등 인구 늘리기가 영천지역의 최대 선거이슈로 부각하고 있다.
영천의 인구는 10만3천619명으로 전국 최소 선거구여서 지난달까지 국회 선거구획정위원회에서 선거구 통폐합 1순위로 거론돼오다 올해에 한해 겨우 선거구가 유지됐다.
영천시는 이미 총선을 7개월쯤 앞둔 지난해 9월과 10월 대대적인 인구 늘리기 대책을 추진했다.
인구 늘리기 운동의 대상은 공무원 친인척, 기업체 임직원, 육군3사관학교 생도 등이 망라됐다. 시는 이들을 대상으로 전화, 문자메시지, 모임 등을 통해 '내고향 주소갖기' '주소 옮기기' 등을 통해 대대적인 인구 늘리기 운동에 나선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8월 말 10만2천775명이던 인구가 10월말 10만4천669명으로 1천894명이나 늘어나는 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이것도 잠시. 인구 늘리기 운동이 주춤해지면서 영천 인구는 다시 지난해 11월 말 10만4천513명으로 줄어든 뒤 12월 말 10만4천182명, 올해 1월 말 10만3천619명으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다. 결국 1월 말 현재 지난해 10월 말보다 다시 1천50명이 줄어든 것이다.
시는 이 같은 인구 늘리기 방안이 땜질식 처방에다 인위적인 주소 이전으로 논란의 소지까지 있다는 비판에 곤혹스러워하며 대안 마련을 고심하고 있다.
특히 자칫 다음 총선에서 선거구가 없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에 휩싸이면서 19대 총선에 나선 후보들마다 인구증가 방안을 내놓으면서 인구증가와 관련한 치적을 자랑하거나 역할 부재에 비판을 가하는 등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일부 후보는 영천첨단산업단지 추진, 교육도시 인프라 등을 통해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또 다른 후보들은 '기업 및 국책사업 유치' '교육 및 의료여건 개선' '귀농 확대' 등을 인구 늘리기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영천'민병곤기자 min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