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이래 부쩍 높아진 공무원 인기, 올해 지방 1만330명 뽑아…전년
IMF 이래 교사 직종과 함께 부쩍 높아진 취업직종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는 공무원 채용규모가 올해는 총 1만330명에 달하게 된다. 이는 작년 대비 436명이 늘어난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총 1만330명의 지방공무원을 신규채용 한다. 작년보다 436명이 늘어 취업난에 시달리던 예비직장인들에게는 낙타바늘귀만한 취업구멍이 더 늘어난 셈이다. 직종별로는 일반직 8천53명을 비롯해 소방직 등 특정직 1천543명, 기능직 190명, 별정직 14명, 계약직 530명을 뽑는다. 전체 채용 인원은 작년보다 436명 증가했다.
일반직은 지난해 7천748명에 비해 305명, 3.9% 늘었다. 이는 지난 2008년(9천309명) 이후 최대 규모다. 2009년에는 3천690명, 2010년에는 4천211명에 그쳤다. 일반직의 직급별로는 9급이 행정직 5천98명, 기술직 2천438명 등 7천536명이고 7급 331명, 연구·지도직 186명이다.
시도별로는 경기가 2천19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 991명, 경북 751명, 경남 654명, 충남 515명 순이다. 인천이 지난해보다 64.0% 많은 271명을 뽑는 등 충남(41%), 경기(36%), 강원 (29%), 경남(14%)의 채용 인원이 증가한 데 반해 서울은 34%, 대구는 49% 감소했다.
공채 일정은 다음 달까지 지자체별로 공고하며 서울시를 제외하고 행안부에 시험 출제를 위탁하는 15개 시·도 9급 공채시험은 5월 12일, 7급 공채시험과 사회복지직 시험은 9월 22일 치러진다.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은 응시 수수료 등이 면제되고, 경력경쟁 시험은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면접시험 위원이 3명 이상이 되고 필기시험이 없는 경우에는 시험 위원 절반 이상이 외부 전문가로 위촉된다.
내년에는 응시 자격에 주민등록지 합산 3년이 신설되고 외국 영주권을 갖고 있는 대한민국 국민인 재외국민도 국내 거소신고를 하면 지방공무원 시험을 볼 수 있다.
최미화 기자 magohalmi@msnet.co.kr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