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라이온즈가 2년 연속 팀 도루왕 수성에 도전한다.
지난 시즌 8개 구단 중 가장 많은 도루를 성공했던 삼성은 올 시즌 팀 도루 2연패와 함께 삼성의 역대 최다 도루 기록(158개)을 갈아치우겠다는 각오로 괌 전지훈련 캠프서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올 시즌 이승엽의 가세로 중심타선의 무게가 한층 더해진 만큼 상'하위 타선이 기동력을 발휘, 찬스를 만들어 준다면 삼성의 타선은 그야말로 가공할 위력을 갖출 전망이다.
삼성은 지난 시즌 발야구의 효과를 톡톡히 봤다. 8개 구단 중 가장 많은 158개의 도루를 성공해 상대적으로 약한 타선의 힘을 스피드로 보완,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한 시즌 158개 도루는 정규시즌 2위를 차지했던 2010년에 이어 2년 연속 기록한 것으로 삼성의 시즌 최다 도루 기록이다.
최근 삼성의 기동력은 예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성장했다. 2000년대 들어 삼성이 팀 도루 세 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5차례(2006, 2007, 2009, 2010, 2011시즌)밖에 되지 않는다. 특히 2008년에는 팀 도루 수가 59개에 그쳐 당시 LG 이대형의 개인 도루(63개)보다 적었다.
'느림보'의 대표 구단 삼성이 달라진 건 2009년부터다. 세대교체의 진행으로 젊은 선수들이 대거 나타나며 팀 색깔을 '뛰는 야구'로 변모시킨 것. 그해 121개의 도루를 성공한 삼성은 이듬해인 2010년 조동찬(33개)'김상수(30개)'이영욱(30개) 등 3명의 30도루 이상 선수를 배출하며 '뛰는 야구'에 시동을 걸었고, 지난 시즌에는 배영섭이 부상 공백에도 33개의 베이스를 훔치고, 김상수(29개)'조동찬(18개)'이영욱(14개)'신명철(13개) 등이 기동력을 살려 팀 도루 1위를 차지했다.
올 시즌 역시 삼성의 뛰는 야구는 빛을 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영욱이 군 입대로 빠졌지만 김상수와 배영섭, 조동찬, 강명구에다 정형식, 김경모, 우동균 등 20개 이상의 베이스를 훔칠 빠른 선수들이 대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류중일 감독이 공격'수비'주루에서 '한 박자 빠른 야구'를 강조하고 있어 올 시즌 삼성이 팀 최다 도루기록 경신과 함께 역대 최다 도루(220개'롯데'1995년)에다, 한 번도 배출하지 못한 도루왕을 탄생시킬지 주목된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