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영광학원 이사회의 파행, 더는 안 된다

입력 2012-01-21 07:08:16

대구대학교의 정상화를 위한 학교법인 영광학원의 이사회가 또다시 파행했다. 19일 대구의 한 호텔에서 7명의 이사가 전원 참석한 가운데 이사장 선출을 위한 이사회를 열었으나 심각한 의견 차만 보였다. 벌써 세 번째다. 심지어 고성이 오가면서 충돌 조짐이 있자, 호텔 측이 회의 장소 변경을 요구해 이사회 장소를 옮겨야 할 정도였다. 말이 이사회였을 뿐, 서로 적대감만 재확인한 자리가 된 셈이다.

이날 이사회는 이사장 선출과 2011학년도 추가경정예산안, 2012학년도 예산심의, 신규 교원 임용 등 학교 운영의 핵심 안건을 다룰 예정이었다. 하지만, 교원 채용 건만 처리했다. 앞서 교육과학기술부는 이사회의 파행 운영과 관련해 법에 따라 임원 승인 취소 등 엄중하게 처리하겠다고 경고했지만, 이사들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이는 이사회가 학교 발전에는 관심이 없고, 주도권을 잡기 위한 세 싸움을 벌이고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영광학원 사태는 구 재단의 비리로 시작했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설립자의 가족 싸움이 정상화를 막고 있다. 전 총장의 부인과 장남이 대구대학교를 비롯한 학교법인 영광학원의 모든 교직원과 학생을 볼모로 싸움을 벌이는 것이다. 이사회는 대리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지난해 교육과학기술부가 17년여 만에 재단 정상화를 승인할 때부터 어느 정도 예견한 일이지만 시간이 갈수록 더 시끄럽고, 볼썽사나운 꼴만 드러내고 있다. 이런 상태라면 이사회가 학교를 정상화시킬 수 있는 능력과 의사가 전혀 없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학교와 지역사회를 위해서라도 영광학원의 파행을 멈출 방법을 찾아야 한다. 최선의 방책은 양보와 타협으로 이사회에서 원만하게 해결하는 것이다. 명분은 학교 정상화다. 대학까지 포함한 큰 덩치의 학교법인은 사회적 공기(公器) 역할이 강하다. 이를 잊어버리고 개인의 소유물로 착각해 계속 주도권을 잡으려고 이전투구를 벌인다면 지역사회도 더는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반면 당사자의 해결 능력이 모자라면 대구시장, 경북도지사 등 각계각층의 저명인사를 중심으로 정상화 위원회를 구성하는 방법도 있다. 이 위원회에 학원 정상화를 위한 화해와 조정 역할을 맡기고, 이 결정에 승복하는 체제를 만드는 것이다. 영광학원의 문제가 단순한 개인 소유권 다툼 문제가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가 합심해 해결해야 할 중대한 문제라는 인식이 필요할 때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