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노트] 한수원 본사의 서울 이사

입력 2012-01-19 10:51:07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도심권 재배치를 두고 경주시와 양북주민들이 첨예한 대립을 빚고 있는 가운데 정작 당사자인 한수원은 본사 사무실을 인근의 새 건물로 이사했다.

이달 9일부터 13일까지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와 삼성동 한전 본사 건물 등에 흩어져 있던 본사 사무실을 인근의 아이파크 타워 2개층으로 이사를 완료한 것.

경주시와 동경주 주민들이 본사를 서로 유치하겠다고 밀고 당기는 사이 슬그머니 본사를 이전해 버린 것이다.

한수원 측은 "한전의 이전 요구와 6개 빌딩에 분산돼 있는 한수원 기구의 조직 재배치를 위해 이전하게 됐다"고 밝혔다.

최양식 경주시장은 지난연말 "내년에는 한수원 본사 인력 중 2분의 1 또는 3분의 1가량이 경주에서 상주하면서 근무해야 한다"면서 "한수원이 요구하면 경주지역 어디든지 임시 이전 장소를 마련할 테니 제발 경주로 이전하는 성의만이라도 보여달라"고 말했다.

한수원은 경주 성동동의 임시 본사에는 고작 처장급을 대표로 하는 직원 100여 명을 형식상 두고, 전 직원의 절반만이라도 경주로 옮겨 달라는 요청은 각종 구실을 붙여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하지만 서울 내 이사는 일주일 만에 '후딱' 해치운 것이다.

물론 조직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여러 군데 흩어진 조직을 한 군데로 모으는 것이 맞지만 한수원의 경우는 다르다. 이왕에 경주 이전이 결정이 났고, 경주에 임시 본사를 만들었으면 경주에서 조직을 재편하면 될 것이 아닌가.

최 시장의 말대로 전 직원의 절반만이라도 경주 본사에 온다면 굳이 새 건물을 얻어 이사갈 필요도 없는 것이다.

방폐장과 한수원 본사라도 유치해 낙후된 지역경제를 살려보려는 경주의 절박함을 과연 그들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의문이다.

특히 한수원의 이사 기간이었던 12일에는 월성1호기가 발전을 정지하는 등 긴박한 원전사고가 발생했다.

이러한 원전사고는 앞으로도 경주시민이 안고 가야 하는 천형과도 같은 것이다.

경주시민들이 고통을 받는 상황에서 경주를 외면하고 서울에서 서울로 이사하는 것은 '효율적인 조직의 재배치를 위해서'라는 그들의 해명이 변명처럼 들린다.

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