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 TV KBS2 먹통 왜?
케이블TV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들이 16일 오후 3시부터 KBS 2TV의 방송 재전송을 전면 중단했다. SO들이 지상파 방송사의 표준화질(SD)과 고화질(HD) 방송 모두를 중단한 것은 처음이다.
이에 따라 케이블TV에 가입한 전국 1천500만 가구가 KBS 2TV를 정상적으로 시청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케이블TV의 가입 가구는 전국 2천만 가구의 4분의 3에 해당한다. 케이블TV 가입자들은 SBS나 MBC 방송의 경우 전과 같이 시청할 수 있다.
SO들은 2007년 이후 5년째 KBS, MBC, SBS 등 지상파 3사와 재송신 대가 문제로 갈등을 빚어왔다. SO들과 지상파 3사는 작년 10월 법원이 SO인 CJ헬로비전에 지상파 방송 재송신을 중단하라는 간접강제 결정을 내린 뒤 재송신 대가 산정을 놓고 집중적인 협상을 벌여 왔다. 작년 11월 말부터 12월 초 사이 8일간 지상파 3사의 HD 방송 송출을 중단했지만, SD 방송을 중단하지는 않았었다. 케이블TV 가입자들은 송출 중단 이후에도 직접 수신 방식으로 KBS 2TV를 볼 수 있지만 난시청으로 직접 수신이 불가능한 지역이 적지 않아 혼란이 벌어지고 있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가입자당 요금(CPS)으로 280원을 주장하고 있지만 SO들은 100원 이상으로는 양보할 수 없다고 맞서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케이블TV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는 "KBS 2TV를 먼저 송출 중단 대상으로 한 것은 KBS가 국민의 시청권을 지켜야 할 공영방송임에도 불구하고 재송신 대가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협상이 순조롭지 않을 경우 MBC, SBS에 대한 송출도 중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CJ헬로비전이 간접강제 집행금으로 지상파 방송국에 지불해야 할 돈이 100억원을 훌쩍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사상 초유의 지상파 방송 재송신 중단 사태가 발생하자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날 오후 긴급 전체회의를 열고 SO들에게 5천500만원의 과징금'과태료 부과와 함께 방송 재개를 명령했지만 SO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 이로써 시청자들의 불편이 장기화될 전망이다.
KBS는 자료를 통해 "이번 방송 송출 중단사태는 케이블 TV 측이 시청자의 권리를 일방적으로 박탈한 불법행위로 규정하고 방송 중단으로 인한 물적 피해와 시청자 피해상황 등을 면밀히 검토해 법적 대응을 적극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갑작스런 방송 송출 중단에 따라 KBS 2TV 시청률이 급감했다. 17일 TNmS에 따르면 16일 오후 3시부터 17일 오전 2시 KBS 2TV 전국 평균 시청률은 2.1%로, 일주일 전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최세정기자 beaco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