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문학'성서'예술, 종 속에 다 들어있죠"
종(鐘)은 신을 향한 간절한 기도다. 인류가 신을 향해 목소리를 전할 때, 맑은 종소리로 하늘을 두드렸다. 중국 시황제시대에도 제사를 지낼 때 종을 쳐 신에게 이를 알렸다. 인류와 함께해 온 셈이다. 하지만 종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뛰어난 조형미와 함께 역사가 숨어 있다. 손바닥 위에 올라갈 만한 종 위에도 예술가의 숨결이 새겨져 있고, 그 종이 세상에 나오기까지 이야기가 숨어 있다.
그 세계에 빠져 20년 이상 8천 점이 넘는 종을 모아온 종 수집가 이재태 경북대학교병원 핵의학과 교수는 최근 진천종박물관에서 잇따라 전시를 열고 있다. 인물조각상이 있는 피겨(figure)종, 데스크종에 이어 올 9월까지 열고 있는 전시는 유리로 된 종을 모아 선보이는 '글라스 벨'. 500여 점의 유리종들이 전시된다.
"유리종은 특히 그 조형미와 색상이 뛰어나요. 크리스탈의 '쨍' 울리는 종소리는 금속과 또 다른 아름다운 소리가 나는 것도 매력이지요."
수집가들에게 알려진 유리종들은 대부분 유럽국가와 미국에서 18세기 중반부터 현대까지 만들어진 종들이다. 19세기 후반, 유리종은 하인을 부르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20세기 이후에는 관광기념품과 상업적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유리종은 이 교수에게 아름다움 대신 좌절도 많이 안겨주었다. 외국에서 유리종을 수집해왔지만 깨어진 것도 여러 번. 보관의 어려움 때문에 지금까지 남아있는 유리종은 세계적으로도 그리 많지 않다.
"19세기 영국 빅토리아 여왕 시대 사람들은 결혼식 때 종을 선물했어요. 이 종은 '웨딩벨'이라고 불리지요. 훗날 미국에서 이를 본떠 '가난한 자의 웨딩벨'을 만들었어요."
종에는 이처럼 조형적 아름다움뿐 아니라 종을 소유했던 이들의 마음과 그 시대 역사, 종을 만든 장인의 숨결 모두가 하나로 응축돼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무라노 유리종, 19세기 프랑스 플린트 유리종, 보헤미아 유리종, 영국의 웨딩 글래스 벨 등 세계적으로 인기가 있는 유리 공예 예술품을 소개한다. 중세 말, 이탈리아 베네치아는 유리를 전문적으로 제조하며 부를 쌓았고, 그들만의 제작 비밀을 지키기 위해 부근의 작은 섬 무라노에 공장을 강제로 집결시켰다. 그렇게 해서 나온 것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무라노 유리. 이 기술은 다른 지방에도 전해져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등에서 그 지방의 전통과 결합된 베네치아풍의 유리 기물이 만들어졌다. 특히 17세기 영국에서 개발된 크리스탈 유리는 납을 첨가해 완전히 투명하고 굴절률이 높으며 내구성이 좋아 실생활에서 유리 이용이 크게 확대됐다.
이번에 500여 점을 전시한 데 이어 이 교수는 앞으로 두 차례 더 종을 기획전시할 예정이다. 역사적인 기념 종, 장난감이나 시계 등에 표현된 다양한 형태의 종 등을 전시할 생각이다.
"종 덕분에 서양 문학, 동화, 성서뿐만 아니라 공예기법, 예술의 흐름 등을 공부할 수 있었어요. 종 하나에 응집된 이야기를 많은 분들이 들으셨으면 합니다."
최세정기자 beaco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