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한나라 재창당 불가피론 급속 확산
'전당대회 돈봉투 사건'으로 비틀거리는 한나라당 내에서 재창당 불가피론이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
검찰 수사로 금권선거의 양태가 드러날 경우 '박근혜 비대위' 체제로도 위기를 극복할 수 없고 4·11 총선을 치르기조차 어려울 정도의 파장이 올 수 있으므로 재창당으로 탈출구를 찾자는 것이다.
주로 쇄신파와 친이(친이명박)계가 재창당을 주장하고 있다.
친이계인 안형환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의 기본 틀을 깨지 않고는 국민의 거부감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당이 5층짜리 노후 아파트라면 부수고 재건축해야 한다"며 의원총회에서의 재창당 논의를 촉구했다.
한 친이계 핵심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풍전등화의 위기로, 공천기준 몇 가지를 제시해서 될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남경필 정두언 의원 등 일부 쇄신파도 전날 회동에서 "재창당도 심각히 고려해봐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하지만 재창당 논의 과정에서 친이계와 쇄신파가 연대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그동안 쇄신 국면에서 양측이 충돌해 왔고 재창당의 목적·방법에서 의견이 엇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두언 의원은 트위터 글을 통해 "쇄신 때마다 번번이 발목을 잡던 이들조차 재창당을 하자니 정말 곤혹스럽다"며 "박근혜 비대위를 흔들기 위한 재창당이 있고, 엉터리 보수를 청선하고 제대로 된 보수를 세우기 위한 재창당이 있다"며 친이계의 재창당론과 선을 그었다.
한 쇄신파 의원은 "쇄신파 입장에서도 재창당을 강하게 주장하고 싶은데, '비대위 흔들기' 의도를 가진 사람들과 오버랩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 친이계 의원은 "재창당이라는 방향은 같은데, 절차 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친박(친박근혜)계 일각에서 '재창당 불가피론'에 공감하는 기류가 형성되고 있어 주목된다.
친박계인 이경재 의원은 SBS 라디오에 출연, "재창당까지는 법적 절차 등 어려움이 많고 부작용이 날 수도 있다"며 "그러나 상황에 따라 재창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친박계 상당수는 '당명·정강정책 변경' 수준의 재창당에서는 동의하지만, 현재의 한나라당을 해산한 뒤 신당을 창당하는 방식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한 친박 의원은 "당명 변경에는 동의한다. 한나라당 이름으로는 안 된다"면서도 "그러나 한나라당을 해체하자는 것은 새로운 분열의 씨앗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총선을 석 달 앞둔 상황에서 당을 해산하면 국고보조금 등에서 수백억원대의 금전적 손실을 보게 된다는 현실적인 판단 등에 따른 것이다.
동시에 돈 봉투 사건 한복판에 재창당을 모색한다면 당의 집단적인 책임회피로 비칠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그동안 재창당을 주장해온 원희룡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돈봉투 사건 조사와 책임을 통한 이해할만한 매듭지음이 없는 상태에서 재창당은 집단적인 책임모면 수단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