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쿠폰 사용기간 최대 6개월로 늘어난다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나 디지털 이미지로 전송되는 바코드 형태의 온라인 선물쿠폰인 모바일 쿠폰의 사용기간이 현행 60일에서 4~6개월로 늘어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모바일 쿠폰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늘어남에 따라 SK M&C, KT[030200], LG U+[032640], SPC 등 4개 사업자에 불공정 약관을 바로잡도록 했다고 9일 밝혔다.
SK M&C는 기프티콘, KT는 기프티쇼, LG U+는 오즈기프트, SPC는 해피콘이라는 이름으로 모바일 쿠폰을 팔고 있다. 이들 사업자의 시장 점유율은 90%가 넘는다.
모바일 쿠폰은 권면에 표기된 교환처의 특정상품으로 교환할 수 있는 물품형 쿠폰과 사용금액이 정해진 금액형 쿠폰으로 나뉜다.
모두 사용기간이 60일로 한정돼 '너무 짧다'는 불만이 많았다. 금액형은 잔액을 반환하지 않도록 한데다 유효기간 경과 시 환불절차가 까다롭다.
공정위는 사업자들이 물품형 모바일 쿠폰의 사용기간을 '기본 60일+연장 60일'로 최대 4개월까지 늘리도록 했다. 금액형의 사용기간은 6개월(기본 90일+연장 90일)로 확대된다. 사용기간을 연장하려면 홈페이지나 고객센터에 신청해야 한다.
금액형 쿠폰의 잔액은 80% 이상 사용했을 때 잔액을 소비자에게 돌려주도록 했다. 이 규정은 시스템 개선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사업자의 요구가 고려돼 상반기 중 적용된다.
또 유효기간이 지난 쿠폰은 수신자가 홈페이지에서 환불신청할 수 있게 하고 쿠폰을 보낸 사람이 기한 내 미사용 쿠폰의 주문취소도 가능하게 했다.
사용자보다 이용자에게 불리했던 책임부담 규정은 형평을 맞췄다.
공정위는 "모바일 쿠폰은 청소년 등 젊은 층의 소비가 많은 신종 상품이다. 이 조치로 젊은 층 소비자의 소비자 권익 보호와 피해방지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공정위는 4개 사업자 외에 모바일 쿠폰사업을 하는 KT하이텔(하트콘), 맥스무비(맥스콘), 네오엠텔[096040](큐피콘) 등 3개 사업자도 약관 자진시정을 유도할 방침이다.
모바일 쿠폰 시장은 2008년 기프티콘 최초 출시 당시 약 32억원대에 불과했으나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늘어 지난해 500억원대로 성장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