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군 의회는 달성문화재단이 신청한 올해 예산 32억 3천여만 원 가운데 78%인 25억 3천만 원을 삭감한 7억 원만을 배정했다. 재단 적립금 20억 원을 비롯한 사업비 대부분을 깎은 것이다. 7억 원도 달성군 100년사 발간비 2억 3천만 원, 대표이사 등 직원 7명의 인건비 3억 2천만 원, 기본 운영 경비 1억 3천여만 원을 제외하면 실제로 달성문화재단이 사용할 수 있는 사업비는 2천만 원이 채 안 된다.
의회는 재단의 사업 실적이 거의 없고, 인건비가 많이 책정됐다는 점을 삭감 이유로 들었다. 하지만 재단 측은 지난해 10여 건의 달성군 위탁 사업을 했고, 인건비도 경험이 많은 전문 인력을 영입한 것을 고려하면 다른 문화재단과 비교해 많지 않다는 해명이다. 재단은 기본 경비를 최대한 줄이고, 지난해 이월금을 보태 찾아가는 문화 공연 등 당장 필요한 사업은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사업비가 모자라 연간 계획 수립에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달성문화재단은 지난해 7월 중순 출범했다. 김문오 군수의 공약이었고, 의회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하지만 출범 6개월도 채 안 돼 의회와 불협화음이 터져 나온 것은 재단의 문제라기보다는 무소속 군수와 한나라당이 주류인 군의원 간의 힘겨루기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최근 몇몇 일로 관계가 틀어진데다 4월 국회의원 총선을 앞두고 한나라당 측에서 무소속 군수 길들이기를 하고 있다는 풀이다.
달성군은 대구시지만 다른 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화 소외 지역에 가깝다. 이를 메우려고 설립한 문화재단의 사업을 정치적인 이유로 발목 잡아서는 안 된다. 재단은 군수나 군의회를 위한 것이 아니고, 군민의 문화 갈증을 채우기 위해 설립한 것이라는 기본 목적을 잊지 말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