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필수예방접종 정부 지원 확대

입력 2012-01-02 19:17:43

어린이 필수예방접종 정부 지원 확대

어린이 필수예방접종에 대한 정부 지원이 대폭 확대되고 필수예방접종 대상 백신 종류도 늘어난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이달부터 만 12세 이하의 모든 어린이가 받는 필수 예방접종에 대한 정부 비용지원이 상향조정된다고 2일 밝혔다.

필수예방접종에 들어가는 평균 비용 2만2천원 중 1만7천원이 정부예산으로 지원되기 때문에 1차례 접종시 국민이 내는 본인 부담금은 종전의 1만5천원에서 5천원으로 줄어든다.

더욱이 전국 126개 자치구는 '접종 시행료' 가운데 일부인 5천원을 추가로 지원하기 때문에, 이 지역에선 모든 백신 접종이 무료다.

서울에서는 강남, 구로, 종로, 서초 등 22개 자치구, 부산에서는 기장군, 대구에서는 달성군, 인천에서는 강화군, 중구, 동구 등 10개 지자체가, 울산은 전지역이 무료 접종을 하게 된다.

또 정부는 올해부터 필수예방접종의 실효성을 높이면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DTaP-IPV 콤보백신'과 'Tdap' 등 신규 백신 2종을 국가 필수예방접종 항목에 추가한다.

'DTaP-IPV 콤보백신'은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등 4종의 감염병을 한번의 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다.

이 콤보백신을 맞으면 기존에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IPV(폴리오) 백신을 따로따로 받을 경우 모두 8회였던 접종 횟수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Tdap'는 최근 청소년과 성인층에서 감염 사례가 늘고 있는 백일해 예방성분이 강화된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신이다.

이 밖에 올해부터는 부모와 의료기관이 출생신고 때부터 예방 접종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전산등록 시스템을 정비했다.

전병율 질병관리본부장은 "필수예방접종 국가지원 사업 확대는 어린이 감염병을 정부가 책임지고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며 "비용 지원 뿐 아니라 예방접종을 편리하게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체계 구축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2009년부터 의료기관 예방접종비 가운데 백신비용 7천원을 지원하면서 민간의료기관 예방접종 비용이 2만2천원에서 1만5천원으로 줄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