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고령화 심각..43.8%가 80대 이상

입력 2011-12-15 19:19:10

이산가족 고령화 심각..43.8%가 80대 이상

이산가족 10명 중 4명은 80대 이상으로 고령화가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는 지난 4∼11월 대한적십자사와 공동으로 실시한 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정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생존자 8만1천800여 명 가운데 실제 연락이 닿은 6만6천611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결과 90대 이상이 6%, 80대 37.8%, 70대 37.3%, 60대 13.6%, 50대 이하가 5.3% 순이었다. 80대 이상이 2003년 20.3%, 2006년 27.3%였던 것에 비춰보면 매우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부모와 부부, 자녀를 찾는 경우가 44.7%로 가장 많았고 형제·자매 44.1%, 삼촌 이상 친지를 찾는 경우는 11.3%였다.

이산시기는 6·25전쟁 전후가 94.9%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휴전이후∼1950년대 2.9%, 1960년대 0.6%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13.3%는 혼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자 비율은 6.2%로 일반인(3.2%)보다 약 2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이산가족을 대상으로 한 첫 전수조사다. 2009년 3월 제정된 '남북 이산가족 생사확인 및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이산가족법)'은 통일부 장관이 5년마다 이산가족 실태조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전면적인 생사확인과 상봉정례화에 대비한 자료구축 및 정책을 위해 반드시 정확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면서 "조사결과는 향후 이산가족 정책 수립에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통일부는 이와 함께 이산가족 1만6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들은 헤어진 가족과 교류방법으로 ▲생사확인(40.4%) ▲대면상봉(35.9%) ▲서신교환(10%)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진 가족과 실제로 생사를 확인한 경우는 8.4%에 불과했다. 확인 방법으로는 일본·중국의 가족·친척을 통한 확인이 37.7%로 가장 많았고 당국의 교류행사 31.4%, 교류알선 단체 4.1%로 뒤를 이었다.

또 생사 확인 후 16.9%가 금전 지원을, 14.8%가 물품 지원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원규모는 100만원 미만이 각각 50% 이상을 차지했다.

생사가 확인되고 나서도 가족과 교류를 원하는 경우는 78.8%로 집계됐다. 교류를 원하지 않는 21.3%는 ▲북한 측 가족의 사망(33.8%) ▲교류비용 부담(17.8%) ▲북한측 가족의 연락두절(9.8%) 등을 이유로 꼽았다.

또 이산가족의 29.6%는 북한에 토지 또는 재산을 갖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이를 증명할 수 있는 땅문서 등 자료를 보유한 경우는 3.6%에 불과했다.

통일부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 '이산가족교류 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2000년 이후 지금까지 모두 18번의 이산가족 대면 상봉이 이뤄졌으며 남북을 합쳐 모두 2만1천여명이 가족을 만나 재회의 기쁨을 누렸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