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년 연장, 고령화사회의 해법

입력 2011-12-14 11:02:19

직원 정년을 연장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포스코가 올해 1월부터 56세에서 58세로, GS칼텍스가 지난 4월에 58세에서 60세로 정년을 연장한 데 이어 홈플러스가 유통업체로는 처음으로 55세에서 60세로 늘렸다. 이에 따라 올해 정년을 맞는 200명을 포함한 만 50세 이상 직원 2천 명이 당장 혜택을 받게 됐다. 기업의 이 같은 결정은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생산인구 감소와 은퇴 후 빈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처방이라는 점에서 매우 반갑다.

급격한 노령화로 인해 2008년에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6.3명이 14세 이하 및 65세 이상 인구 1명을 먹여 살리면 됐지만 2050년에는 1.5명이 1명을 먹여 살려야 한다. 이는 생산가능인구가 짊어져야 할 사회경제적 부담이 그만큼 커지고 노후 준비 여력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게다가 한국의 노인 빈곤율(45%)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1위다. 노년층이 젊은이의 부양 부담을 덜어줄 여력이 없다. 결국 생산가능인구가 획기적으로 늘어나거나 나이 들어서도 일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지지 않으면 젊은 층과 노년층 모두 힘든 삶을 꾸려갈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하지만 국내 기업의 평균 정년은 57.1세이고 60세가 넘어 정규직으로 일할 수 있는 곳은 20%에 불과하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정년 연장은 우리 사회의 긴급한 의제 중 하나이다. 정년 연장이 되면 안정적인 생활은 물론 노후 준비 시간도 벌 수 있다. OECD도 우리 경제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기업 정년제를 폐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기업은 정년 연장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가야 하고 정부도 세제를 포함한 다각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정년 연장을 확산시켜야 한다.

최신 기사